위로가기 버튼
자체기사

지역청년생존기, 문화예술청년들이 만든 새로운 시도

물결서사 멤버, 시·소설·희곡·성악·춤·그림 구독 서비스
작가들 “무명 창작자 모여 유일한 콘텐츠 만들고 싶다”

image
'봐라물왕멀296' 주간 연재를 진행하고 있는 물결서사 운영진. 왼쪽부터 송지희, 임주아, 방우리, 조현상, 장영준, 서완호

 

최근 유독 화요일 퇴근 시간이 기다려진다. 직장인이라면 언제나 기다려지는 게 퇴근이라지만, 최근에 이유 하나가 늘었다. 매주 화요일 저녁 무렵 선물 세트 같은 메일 하나가 메일함에 도착한다.

지역에서 청년이 버티고, 살아남기 어렵다고들 말한다. 지자체에서 청년을 위해 갖가지 지원에 나서지만, 그마저도 부족하다는 인식이 팽배하다. 특히 문화예술계에 종사하는 청년들의 어려움도 마찬가지다. 이런 가운데, 지역에서 새로운 시도로 소소한 반응을 이끌어내는 청년들이 있다. ·

지역 청년 문화예술가들이 모여 성매매집결지 선미촌에 예술책방을 차려 눈길을 끌었던 '물결서사' 운영진이 이번에는 ‘구독’ 서비스를 통해 반응을 이끌어 내고 있다. 물결서사 주간 연재 '봐라물왕멀296'이 그것. 

임주아 시인의 '연필로 쓰는 초고', 서완호 화가의 '틈틈이 풍경', 방우리 소설가의 '역전 너머', 장영준 비보이의 'B스케치', 송지희 극작가의 '사랑, 하는 사람', 조현상 성악가의 '처음 쓰는 노래' 등 소설과 시, 희곡에 그림, 노래, 춤까지 포함돼 있다.

전국적으로는 에세이 구독 서비스 '일간 이슬아'로 인기를 끌었던 이슬아 작가가 있지만, 지역에서 문화예술인들이 구독 서비스를 추진한 것은 첫 사례로 꼽힌다. 특히 한가지 분야가 아니라 글로 표현할 수 없는 그림과 춤, 노래까지 다양한 작품이 포함돼 있다.

임주아 작가는 "무명 창작자들이 모여서 유일한 콘텐츠를 만들고 싶었다"고 말했다. 무명, 게다가 지역에서 활동하는 젊은 창작자들이 작품을 꾸준히 선보이고, 소소하지만 구독료를 받는다는 게 녹록지만은 않다. 그는 "이걸로 먹고살 수 있으면 좋겠지만, 그 정도는 아니다. 하지만 처음 생각했던 것 보다는 기대 이상"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누군가 청탁한 글이나 작품이 아니라, 창작자 스스로 '판'을 만들고 창작물을 낸다는 것에 큰 의미를 부여했다. 

임주아 작가는 "일주일에 한 번씩 작품을 만들어낸다는 게 어렵고, 시행착오는 있었지만 하나둘 배우고 적응해가며 진행하고 있다"면서 "구독자들의 반응도 좋고, 작가들에게도 창작물이 쌓이니까, 돈 주고도 살 수 없는 결과물"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9월쯤 시즌2로 다시 연재를 구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지난 3월 15일 시작한 구독 서비스는 19일 6호가 나오며 반환점을 돌았다. 계획된 연재는 12회. 5월 31일까지 이어진다.

천경석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외교 ‘강행군’ 여파 속 일정 불참

스포츠일반[제37회 전북역전마라톤대회] 전주시 6시간 28분 49초로 종합우승

스포츠일반[제37회 전북역전마라톤대회] 통산 3번째 종합우승 전주시…“내년도 좋은 성적으로 보답”

스포츠일반[제37회 전북역전마라톤대회] 종합우승 전주시와 준우승 군산시 역대 최고의 박빙 승부

스포츠일반[제37회 전북역전마라톤대회] 최우수 지도자상 김미숙, “팀워크의 힘으로 일군 2연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