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자체기사

"멀리 달을 보게 됐다"...김기찬 시인, '멀리 달을 보는 사람' 출간

"익숙하지만 낯선, 잘 알지만 생경한"
지역의 인물, 상품, 교류 등 자세히 표현
김기찬 시인 세 번째 시집 출간

image
<멀리 달을 보는 사람> 표지/사진=교보문고 홈페이지

“김기찬의 이번 시집의 작품들은 기록은 기록이되 역사적인 그것이 아니라 마치 익숙하지만 낯선, 혹은 잘 알지만 생경한 지역의 지리지처럼 다가온다.”

김기찬 시인의 세 번째 시집 <멀리 달을 보는 사람>(시인동네)의 해설을 맡은 백인덕 시인의 말이다. 여러 작품을 한 마디로 정리했을 때 가장 적합한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

김기찬 시인이 <멀리 달을 보는 사람>(시인동네)를 펴냈다.

시집에는 총 54편의 주옥같은 작품이 담겨 있다. 김기찬 시인은 지역의 인물과 상품과 교류 등 생활상을 자세히 기술했다. 시집에는 부안 일대가 자주, 많이 나온다. 변산과 그 앞바다의 위도, 그 옆의 격포, 채석강, 적벽강, 직소폭포, 의상봉과 내소사, 매상마을, 구암리 등 전북 독자들에게 더욱 친근하게 다가온 이유다.

그의 시는 다른 시와 비교했을 때 긴 편에 속한다. ‘시’라는 형태 속에서 자유자재로 뛰고, 놀고, 웃고, 슬퍼하는 김기찬 시인의 모습이 그려진다. ‘시’지만 하나의 소설 작품, 하나의 드라마와 영화를 본 듯 실감 나고 깊고 진한 그의 시에 책을 손에서 놓을 수 없다. 뛰어난 그의 시적 능력이 돋보이는 시집이다.

백인덕 시인은 해설을 통해 “‘그므이던 마음’에서 출발했으나 ‘첩첩산중’에서마저 ‘그믐이던 마음이 열나흘 호벅진 달빛이 되’는 체험을 했으니 새로 맑게 씻긴 마음이 매운 시학으로 꽃피길 기대해본다”고 전했다.

김기찬 시인은 "바닥의 높이는 얼마나 아득한가. 이제 겨우 뒷짐 지고 멀리 달을 보게 되었다"고 말했다.

김기찬 시인은 전북 부안 출신으로, 서울 디지털대학교 문예창작학과를 졸업했다. 2008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창작 지원금을 받아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시집으로 <바닷책>, <피조개, 달을 물다>, <채탄부 865-185>가 있다. 그는 ‘석정촛불시문학상’, ‘전북시인상’, ‘한국미래문화상’을 받았다. 현재 변산 유유마을에서 시 창작 지도를 하고 있다.

 

박현우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외교 ‘강행군’ 여파 속 일정 불참

스포츠일반[제37회 전북역전마라톤대회] 전주시 6시간 28분 49초로 종합우승

스포츠일반[제37회 전북역전마라톤대회] 통산 3번째 종합우승 전주시…“내년도 좋은 성적으로 보답”

스포츠일반[제37회 전북역전마라톤대회] 종합우승 전주시와 준우승 군산시 역대 최고의 박빙 승부

스포츠일반[제37회 전북역전마라톤대회] 최우수 지도자상 김미숙, “팀워크의 힘으로 일군 2연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