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산재의료인프라 불균형 심각⋯전북에 산재전문병원 건립 필요

전북 요양 재해율 0.70%... 전국 평균 0.57%보다 높아
도내 산재병원 부재로 대전, 서울 등 원거리 치료 불편

image
전국 산재전문병원 현황/전북연구원 제공.

산재환자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전북에는 이들에 대한 전문 의료·재활시설이 없어 전북권 산재전문병원 건립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전북연구원은 10일 지역 산재환자 증가 추이와 산재전문병원의 운영 현황을 분석해 전북권 산재전문병원 건립 필요성을 제안했다.

전북연구원에 따르면 산재환자는 2001년 14만 3000명에서 2020년 35만 명으로 두 배 이상 증가했다.

도내 요양 재해자도 2020년 기준 약 4000명으로 요양 재해율이 0.70%에 달했다. 이는 전국 평균 0.57%보다 높다. 특히 익산시의 요양 재해율이 0.77%로 매우 높은 수준이고 이어 군산시가 0.71%로 광주지청 산하 지방관서의 평균 재해율인 0.67%보다도 높은 수준이다.

도내 요양 재해자가 증가하고 있지만 산재환자를 전문적으로 치료하는 전문병원이 전북에는 부재하다. 결국 지역의 산재환자는 인근 대전이나 서울 등으로 원거리 치료를 받아야 해 이동의 불편과 함께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광주전남권에는 산재전문병원(순천)과 산재전문 재활센터(광주)가 설치돼 있고, 대전에도 산재전문병원(대전)과 직업병 예방상담 및 치료센터(대전)가 모두 설치돼 있다.

하지만 전북은 산재전문 의료·재활시설이 전무해 산재의료 인프라의 불균형도 매우 심각하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전북은 산재전문병원의 부재로 인해 산재전문병원 이용률이 10.4%에 불과하다. 이는 전국 평균 산재전문병원 이용률인 21.4%보다도 훨씬 낮은 수준이다.

이중섭 전북연구원 연구위원은 “도내 산재전문병원 건립을 통해 급성기 산재환자의 전문적인 치료 대응력을 갖추고 지역 산재환자의 접근성과 편의성을 제고해야 한다”며 “전북의 산재전문병원은 최근 농업과 어업 분야의 재해율 증가에 대응해 농어업 분야의 환자를 전문적으로 치료하고 재활을 지원할 수 있는 농업 특화 산재전문병원으로 건립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엄승현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익산10월 익산 소비 촉진 정책 ‘통했다’

정치일반김도영 교수,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위촉

정치일반올해 100대 기업 여성임원 476명 역대 최다…전체 임원 중 6.5%

정치일반'검은 수요일' 코스피 6%↓…급등 부담 속 'AI 버블론'이 직격

군산“군산에 오면, 미래 체육을 만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