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와 군산시 등이 역점적으로 추진해온 '특수목적선 선진화단지' 구축사업이 소관부처인 해양수산부의 반대에 부딪혀 수년째 표류하는 가운데 산업통상자원부와 해양수산부, 해군 등이 참석하는 정책토론회가 예정돼 있어 꺼져가는 사업의 불씨를 살릴 수 있을지 주목된다.
더불어민주당 신영대(군산) 국회의원이 주최하고 한국첨단기술융합학회가 주관하는 '특수목적선 선진화단지 구축 정책토론회'가 22일 국회의원회관 제2세미나실에서 열린다. 토론회에는 신영대 국회의원과 김종훈 전북도 경제부지사, 강동훈 해군 참모차장, 산업부·해수부 과장 등이 참석한다.
오경원 한국첨단기술융합학회장, 조민호 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전북본부장, 임상필 롤스로이스 이사 등은 주제발표를 통해 특수목적선 선진화단지 구축사업의 필요성에 대해 설명한다. 특히 이번 토론회는 산업부·해수부 등 관련부처와 사업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특수목적선 선진화단지는 2023년부터 2025년까지 국비와 지방비 등 총 5316억 원을 투입해 군산항 7부두 내에 단지를 조성하고 시험연구센터, 기업입주공간, 시설·장비 등을 구축하는 사업이다.
전북도와 군산시는 군산조선소 가동 중단으로 침체된 도내 조선산업을 활성화하고, 국제해사기구(IMO) 환경 규제에 따른 친환경 선박 수요 증가에 대비하기 위해 이 사업을 추진해왔다. 이미 전북도는 지난해 6월 특수목적선 선진화단지 구축 사전 타당성조사 연구용역을 끝낸 상태다.
그러나 해수부는 민간 영역에 대규모 재정을 투입하는 데 난색을 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소관부처의 부정적인 입장으로 인해 현재까지 해당 사업은 예비타당성조사 신청조차 하지 못한 상태다. 이처럼 사업이 제자리걸음만 하면서, 당초 목표로 했던 2023년 사업 착수는 어렵게 됐다. 이와 관련 전북도는 사업 기간을 2024년부터 2028년까지로 조정했다.
한편 특수목적선은 관공선, 함정 등 공무·국방 목적으로 운항하는 선박을 뜻한다. 선진화는 일정 주기로 수행하는 도색, 의장 등 단순한 수리·정비와 별개로 친환경, 디지털, 성능 향상 등의 요구에 따라 선박의 성능을 향상하는 일련의 작업을 의미한다. 이 작업은 장기간(약 12개월)이 소요되고, 수리·정비에 최적화된 기존 조선소와 별도의 인프라가 필요하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