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기업 매출액 7조, 농가소득 6000만원 진입 목표
청년농 육성, 지역농산물 활용 제고, 그린바이오 강화
전북도가 대한민국 농생명산업 수도 비전을 선포하고 2023년부터 2026년까지 4년간 총 7조 3800억 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전북도는 27일 전북도청 대회의실에서 '대한민국 농생명산업 수도, 전라북도' 비전 선포식을 열고 농생명산업 수도 육성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에는 식품기업 매출액 7조 원, 농가소득 6000만 원대 진입이라는 2대 목표와 함께 이를 실현하기 위한 6대 전략, 16대 과제 등이 담겼다.
6대 전략은 △청년농 창업 1번지 조성 △수요 창출을 통한 농가소득 견인 △농생명 신산업 생태계 고도화 △위기대응 지속가능 농업 구조 전환 △안심하고 농업하는 경영안정 강화 △누구나 살고 싶은 활력 농촌 조성이다.
청년 농업인과 관련해서는 전북형 청년농 창업 통합지원체계를 구축해 2026년까지 신규 청년농 3000명을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새만금 농생명용지 6공구의 청년농 스마트팜 창업특구, 시·군별 임대형 스마트팜 등을 통해 청년농 스마트팜 면적을 24.4㏊에서 70㏊로 3배 가까이 확대한다.
또 수요 창출과 관련해서는 지역 생산 농산물 활용도를 제고하고 농식품 수출 경쟁력을 강화한다. 농생명 신산업과 관련해서는 종자, 식품, 미생물, 동물용의약품 등 기존 그린바이오산업 기반을 고도화한다. 공항, 항만, 철도 등 새만금 트라이포트(tri-port)를 기반으로 한 글로벌 푸드 허브도 계획대로 추진해 나간다.
김관영 전북도지사는 "지난해는 대한민국 농생명산업 수도의 청사진을 그리는 한 해였다"며 "올해부터는 전북이 가지고 있는 종자·식품·미생물·동물용의약품 등 농생명 신산업을 고도화하고, 새만금 농생명용지와 트라이포트를 연계한 글로벌 푸드 허브를 구축해 나가겠다. 또 미국·일본·중국 중심에서 러시아·베트남·인도네시아 등 신시장 창출을 통해 전북을 대한민국 농생명산업을 선도해 가는 지역으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