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식∙돌봄에 종사하는 전북 학교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오는 31일 총파업을 예고했다.
총파업에는 급식조리사, 돌봄전담사, 방과후실무사, 특수교육지도자, 시설관리원, 경비원 등이 참여한다.
전국교육공무직노동조합 전북지부, 전국여성노동조합 전북지부,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전북지부로 구성된 전북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이하 연대회의)는 27일 전북도교육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는 31일 총파업 돌입을 선포한다"고 밝혔다.
연대회의는 이날 "지난 7개월간 장기간의 교섭에도 불구하고 2022년 학교 비정규직 집단임금교섭은 타결이 아니라 총파업으로 가고 있다"면서 "교육부는 지난 15일 '학교 급식실 조리환경 개선방안'을 발표했지만, 급식실 종사자들의 조기 퇴사, 신규 채용 미달 등의 인력 문제를 해결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대책"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학교비정규직의 역할과 업무의 중요도는 점차 높아지고 있는데 정부는 언제까지 임기응변식의 대책만 내놓을 것이냐"면서 "노조는 시급한 과제로 학교 급식실에 부족한 인원을 충원하기 위한 대책을 요구하고, 중장기적으로 급식실 환기시설 개선 등 급식실 노동안전 종합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한 이들은 "학교비정규직의 90%가 여성노동자들이고, 기본급이 최저임금에도 미치지 못하는 저임금 여성노동자들이 대다수"라며 "윤석열 정부는 학교비정규직 여성노동자의 저임금 구조 개선을 위해 해결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정부와 교육당국은 학교비정규직 여성노동자들의 노동을 희생 삼아 더는 교육복지를 유지하지 말라"면서 "이에 제대로 응답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31일 전국적인 총파업 투쟁을 진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전북교육청은 총파업을 앞두고 학생과 학부모의 불편 최소화를 위한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전북교육청 관계자는 "총파업으로 결식이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을 철저히 하겠다"며 "급식 운영안으로 대체식을 구매해 제공하고 도시락 지참 등 학생과 학부모에세 사전 안내를 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특수 및 통합학급 교사 학습 활동을 지원하겠다"면서 "돌봄같은 경우는 통합운영을 하고 독서숙제 등 하교시까지 교실을 개방, 교직원 업무 분장∙조정 등 협조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지난해 11월 총파업에는 교육공무직 전체 7035명 중 1412명(20.1%)이 참여했다. 전체 810개교 중 219개교가 급식중단으로 빵, 우유 등 대체식으로 급식을 해결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