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 "민주주의 기여" 승인.. 한국 보유 세계기록유산 18건으로 늘어
농민군 참여자 독립 유공 서훈과 동학정신 헌법 전문에 담아내는 과제도
지난 18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216차 유네스코 집행이사회에서 동학농민혁명 기록물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가 최종 결정됐다.
유네스코는 “동학농민혁명은 한국의 민중들이 국가의 위기를 해결하고 평등사회를 해결하고자 무장투쟁을 벌여 세계사적인 모범이 될 만한 사건으로 의의가 있다”고 평가했다.
또 “부패한 지도층에 저항하고 외세의 침략에 반대하며 평등하고 공정한 사회를 건설하는 과정에 집강소라는 민-관 협력 거버넌스 체제를 설치하는 성과를 거뒀다”며 “이러한 형태의 거버넌스는 신선한 민주주의 실험으로, 19세기 당시까지 유사한 제도는 세계 어디에도 없었다”고 강조했다.
이처럼 동학농민혁명 기록물은 조선 백성들이 주체가 돼 자유, 평등, 인권의 보편적 가치를 지향했던 기억의 저장소로서 세계사적 중요성을 인정받았다. 이번에 등재된 기록물은 총 185건으로 동학농민군이 생산한 회고록과 일기, 유생 등이 생산한 각종 문집과 조선 관리와 진압군이 생산한 각종 보고서 등이 포함돼 있다.
특히 동학농민혁명 기록물은 우리나라가 보유한 18건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중 처음이며 전북과 직접 관련된 기록물로 그 의미를 더하고 있다.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은 산재돼 있는 동학농민혁명 관련 자료들을 재단 홈페이지를 통해 누구나 볼 수 있도록 서비스를 체계화하고, 동학농민혁명 130주년을 맞는 내년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기념하는 국제 학술대회와 특별전시 등 가치 확산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고창군도 동학농민혁명 시작점의 위상을 높이기 위해 현재 천도교 중앙총부가 소장 중인 무장포고문 필사본 복제 작업에 착수한 상태다.
동학농민혁명이 유네스코 등재를 계기로 세계사적 위상을 갖게 됐지만 해결해야 할 과제도 많다.
국권 침탈에 맞서 싸운 농민군 참여자를 독립 유공자로 서훈하고, 우리나라 민주주의 출발점이 된 동학농민혁명의 정신을 헌법 전문에 담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신순철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이사장은 “동학농민혁명의 정신과 가치를 전국에 알리는 것은 물론, 동학농민혁명 기록을 외국어로 번역해 전 세계인들에게 보급하는 노력도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
전현아 기자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