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이차전지 솔루션센터 등 5대 상용화 핵심센터 구축
오는 26일 서울대 글로벌 R&DB 센터 분원 설치 MOU 예정
상용화센터 성과 토대로 한국화학연구원 분원 등 유치 노력
전북도가 이차전지 특화단지 기세를 몰아 한국화학연구원 분원 등 이차전지 관련 정부출연연구기관 유치에 나선다.
22일 전북도에 따르면 도내 연구기관은 정부출연·국공립 공공연구기관, 지자체출연 연구기관 등 모두 50곳이 있다. 이 가운데 이차전지 관련 연구기관은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등 모두 23곳이다.
전북도는 새만금에 이차전지 관련 기업 투자가 몰려들고 있는 만큼 새만금에 이차전지 관련 연구기관을 집적화해 이차전지 산업 육성을 위한 R&D 지원 체계를 마련할 방침이다.
현재 새만금 내에는 전북테크노파크, 자동차융합기술원,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플라즈마기술연구소 등 3개 기관 소재해 있다.
향후 전북도는 한국화학연구원 분원, 한국재료연구원 분원, 한국전기연구원 분원 등 정부출연연구기관을 추가 유치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관련한 선행 작업으로 전북도는 이차전지 5대 상용화 핵심센터를 공격적으로 구축해 나가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는 차세대 이차전지 솔루션센터,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과는 중대형 배터리 시스템 신뢰성·화재 안전성 검증센터, 전기안전공사와는 사용 후 이차전지센터, 전기안전연구원과는 신뢰성·안전성 평가센터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차세대 이차전지 솔루션센터는 전고체 전지 등 차세대 전지 개발을 위한 초격차 기술 공동 연구를 수행한다. 중대형 배터리 시스템 신뢰성‧화재 안전성 검증센터는 모빌리티와 응용 제품의 신뢰성 검증과 안전성 평가, 화재 진압을 위한 소방설비 시험 기반 구축 등을 추진하게 된다. 사용 후 이차전지센터는 사용 후 이차전지 신뢰성 평가와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을 추진한다.
또 오는 26일에는 서울대와 서울대 글로벌 R&DB 센터 분원 설치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할 예정이다. 도는 서울대의 인력을 기반으로 이차전지 상용화 기술 공동 연구와 함께 글로벌 인력 양성을 추진할 방침이다.
전북도 관계자는 "이차전지 5대 상용화 핵심센터 구축 성과를 바탕으로 향후 이차전지 관련 정부출연연구기관 유치에 나설 계획"이라며 "새만금을 이차전지 산업 초격차 기술 확보 R&D 허브로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