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주를 빛낸 작가들의 노고를 담아낸 책이 세상에 나왔다. 최명표 문학박사가 신아지역문학 연구총서 <무주문학론>(신아출판사)를 발간한 것.
책은 지난 2021년 출간된 <정읍시인론>에 이어 소지역의 문학 현상을 조감한 2번째 연구서다.
최 박사는 “책을 통해서 그들의 노고가 군민을 비롯한 독자들에게 정당하게 평가받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출발하게 됐다”면서 “이번 책에서 취급한 작가들은 자기 자리에서 무주를 빛내기 위해 힘쓴 이들로 선정했다”고 책을 집필하게 된 계기를 설명했다.
실제 책은 ‘제1부 소원문학회’, ‘제2부 김환태론’, ‘제3부 시인론’, ‘제4부 시집평’, ‘제5부 아동문학가론’ 등 총 5부로 구성됐다.
먼저 1부에서는 1962년 12월 무주에 처음으로 생긴 ‘소원문학동인회’에 대해 다루고 있다. 내용을 보면 서재균·이찬진·정치중·조기호·한창근 작가 등 5명으로 출범한 소원문학동인회에 대한 설명과 함께 ‘소원(素園)’, ‘귀찮은 말씀’ 등 일종의 선언문으로 채워졌다.
2부에서는 무주를 대표하는 비평가 ‘김환태론’을 조명했다. 그간 발표했던 김환태 비평가의 낭만주의적 성격과 동심의 심미화 과정, 영향 관계 그리고 ‘순수’론을 담아낸 것. 특히 김환태 비평가의 비평이 함의한 의의가 널리 알려지기를 바라는 최 박사의 심정을 담아내 무주군민들의 자긍심을 높이고 있다.
이어 3부에서는 정훈 시인을 비롯해 박희연, 이봉명, 전선자, 이선옥 시인의 작품을 통해 무주시인론을 다룬다.
4부는 무주 출신 시인들의 시집평이 실려있다. 차주일, 이이진, 장만호, 이병수, 석경자, 이현정, 이기종, 주평무, 이일우 작가의 작품이 다뤄졌다.
끝으로 5부에는 서재균론과 김종필 작가의 동화집평이 묶인 아동문학론이 담겼다.
최 박사는 “무주와의 인연은 2019년 제30회 김환태평론문학상 수상 이후 눌인문학회장을 맡으며 깊어졌다”며 “무주문학론을 준비하며 무주인들은 저마다 넉넉한 덕으로 만나는 사람들과 척척(戚戚)하게 지내는 등 덕유산을 닮았다”고 소감을 전했다.
그러면서 그는 “이번 문학론을 통해 무주 출신 작가들의 흔적과 그들의 혼화한 작품을 읽는 재미를 발견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한편 최명표 박사는 문학박사를 비롯해 문학평론가로 활동하고 있다. 그는 전북대학원 국어국문학과를 수료했으며, 전북아동문학상, 방전환문학상, 아름다운문학상 등을 받았다. 저서로는 <전북지역시문학연구>, <한국근대고년문예운동사>, <전북시인론> 등이 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