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예술인 및 단체 대상, 최소 300만원 최대 1천만원까지 지원
개인과 단체 분리 선발 등 사업 기준과 운영방향 개선
신청은 26일까지 국가문화예술지원시스템 접수…3월초 결과 발표
전북문화관광재단(대표이사 이경윤, 이하 재단)이 2024년 지역문화예술육성지원사업에 대한 기준과 원칙을 재정립한다.
해마다 선정 결과에 대한 시비가 불거지고, 지역 예술인들의 사업 의존도가 높다 보니 상생의 정신으로 투명한 가이드라인을 만들겠다는 의도다.
11일 전북문화관광재단에 따르면 지역문화예술육성지원사업은 도내 예술인과 단체를 대상으로 창작역량 강화 및 문화예술창작활동 지원을 목적으로 한다. 올해 사업 가용예산은 모두 16억 5000만 원으로, 최소 300만원에서 최대 1000만 원까지 지원한다.
이에 따라 재단은 지원 사업에 대한 기준과 운영 방향을 개선하기로 했다.
올해는 개인과 단체를 분리해서 선발한다.
지난해에는 개인과 단체가 동일한 분류 체계로 선발됐다.
하지만 활동 규모에 있어 차이가 나타나는 만큼 지원금에서도 차등으로 지급하는 게 보다 합리적이라는 판단에서다.
따라서 개인 예술가는 정액지원, 예술단체는 분야별(문학 300만 원, 시각 400만 원, 공연 500만 원)로 차등 분배한다.
지역예술인의 권익 보호 강화에도 힘쓴다.
예술인에 대한 보상 체계가 취약하고 창작자의 권리 보호가 필요하다는 지적에 따른 것으로, 재단은 개인 창작활동비를 지원금의 15%까지 인정한다.
또 개인 휴식년제 강화와 사전예고제도 실시한다.
개인 예술가 선정률이 낮았던 점을 감안해 격년으로 진행하던 휴식년제를 2년 휴식제로 확대 시행한다.
실제 지난해 개인 예술가 선정률은 전체의 30.3% 수준에 머물렀다.
재단은 올해, 이 같은 내용을 사전에 알리고, 2025년도부터 시행한다는 구상이다.
지원 분야 용어도 재정리한다.
모호한 용어로 심사 과정에서 적잖은 혼란이 초래됐기 때문이다.
앞으로 재단은 문화예술창작-기반 구축-청년예술창작 등으로 쓰이던 용어를 예술창작-예술 확산-젊은 예술로 바꾸는 등 대대적인 정비를 통해 투명한 지원금 분배에 힘쓸 전망이다.
전북문화관광재단 관계자는 “지역 예술가들이 창작활동을 하는데, 최소한의 권리와 지원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객관적이고 투명한 기준을 세웠다”며 “공정한 선정을 통해 지역 예술가들에게 다양한 기회와 혜택이 주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사업설명회는 오는 18일 오후 2시 전북도청 공연장에서 진행되며 접수는 26일까지 국가문화예술지원시스템(NCAS)을 통해 온라인으로 접수해야 한다. 결과는 3월 초 발표될 예정이다. 자세한 내용은 전북문화관광재단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