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보도자료

8년 만의 신작 시집 발간, 이병초 시인 '이별이 더 많이 적힌다'

고단한 삶의 이야기 속 소소한 정겨움을 가미한 시 59편 담겨
된소리가 별로 없어 부드러운 전북 방언으로 독자의 감수성 자극

image
이별이 더 많이 적힌다 표지/사진=교보문고 제공

전주 출신 이병초 시인의 4번째 시집 <이별이 더 많이 적힌다>(걷는사람 시인선)가 출간됐다.

시인이 8년 만에 낸 시집은 ‘1부 어제를 앓은 꽃송이’, ‘2부 어둠살 펴 주듯 눈이 내린다’, ‘3부 농성일기’, ‘4부 물떼새 소리 들리던 날’ 등 총 4부로 이뤄져, 긴 세상살이에 따듯한 아랫목 하나 찾지 못한 고단한 삶의 이야기 속 소소한 정겨움을 가미한 59편의 시를 담고 있다.

이번 시집에서도 그의 언어는 고향인 전북의 토속 언어와 서정에 크게 기대어 포근한 어머니 품, 첫사랑의 따스함 같은 감정들을 시로 풀어내고 있지만, ‘농성일기’라는 부제를 단 3부에서는 대학 비리를 고발하는 주제로 천막 농성을 하며 느낀 감회를 뼈아픈 세상살이에 빗대어 써 내려간 기록이 이어지기도 한다.

“옥이는 대문을 나섰을까 이마빡 쓸어 올리며 무릎을 폈다 접었다 하며 교련복 윗주머니에 성냥알들 쏠리는 소리가 지푸라기에 긁히고 눈발 사이로 팥죽 냄새가 묻어난 것 같았다 옥이 모르게 죽음이 다녀가는지도 몰랐다 그래도 귀를 바깥에 뽑아 놓고 짚벼눌 속에 새는 빛에 눌려 숨이 막혔다” (시‘옥이·2’ 부분)

전북의 방언은 부드러우며 된소리가 별로 없는 특징을 지닌다. 또 말을 할 때 마치 노래하듯 ‘겁~나게’, ‘포도~시(겨우)’ 등과 같이 늘어 빼는 가락을 넣는 특징이 시인의 시에서는 그리움을 증폭시키는 기저로 작용하고 있어, 독자의 감수성을 자극한다.

또 ‘간조롱히(가지런히)’, ‘짚시랑물(낙숫물)’, ‘눈깜땡깜(얼렁뚱땅)’, ‘깜밥(눌은밥)’, ‘당그래질(고무래질)’ 등과 같은 말들이 되살아나 우리의 귀를 트이게 하고, 입술을 쫑긋거리게 한다. 이뿐만 아니라 시인의 맑은 눈으로 발견한 ‘오디별’, ‘시냇물벼루’ 같은 표현들이 그림처럼 선연히 그려지며 우리 앞에 한 자락의 시냇물을 데려다 놓기도 한다.

정재훈 평론가는 해설을 통해 “이병초 시인의 시가 품고 있는 온기를 ‘사지(死地)에서 온 편지’ 같다”고 표현했다.

그러면서 그는 “아무리 ‘내 몸과 마음이 처음부터 유배지’(시 ‘코스모스’ 중)였다고 해도 지금껏 살아남을 수 있었던 것은 ‘쌀알’처럼 작은 빛 때문이었다”며 “연약한 것으로부터 나오는 일용한 양식들은 하나같이 둥근 모양을 하고 있었고, 이것들은 계속해서 살아 있으라는 신호가 돼 내 머리 위로 똑똑 떨어진다”고 짚었다.

image
이병초 시인

한편 이병초 시인은 전주에서 태어나 1998년 <시안> 신인상을 받으며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이후 그는 시집 <밤비>, <살구꽃 피고>, <까치독사>, 시 비평집 <우연히 마주친 한 편의 시>와 역사소설 <노량의 바다>를 냈다.

전현아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국회 초당적 협력 요청... “단결과 연대에 나라 운명 달려”

국회·정당인공태양(핵융합)이 뭐길래..." 에너지 패권의 핵심”

국회·정당“제2중앙경찰학교 부지 남원으로”

정치일반전북도청은 국·과장부터 AI로 일한다…‘생성형 행정혁신’ 첫 발

정치일반전북 ‘차세대 동물의약품 특구’ 후보 선정…동물헬스케어 산업 가속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