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자체기사

최재선 시인 8번째 시집, ’낮잠 들기 좋은 날‘ 출간

작가 본인만의 고유한 시선 통해 단단한 시어 구축
작가의 상상력 체험에 포개져 정서와 사상의 진정성 견인

image
낮잠 들기 좋은 날 표지/사진=교보문고 제공

수만 평 시의 밭을 경작하고 있는 농부, 최재선 시인이 8번째 시집<낮잠 들기 좋은 날>(인간과문학사)을 펴냈다.

본디 시인에게는 삶 속에서의 경험과 사유가 중요하지만, 최 시인의 <낮잠 들기 좋은 날>은 시인 본인이 직접 체험한 것만으로 채워지지 않았다.

시인 본인의 이성(理性)과 가치관, 윤리 등이 시적 화자의 체험을 확장하는 데 방해요소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최 시인의 판단 때문이다.

총 5부로 구성된 시집에는 105편의 시가 담겨있다. 

시집에서 작가는 본인만의 고유한 시선을 통해 일상의 만남을 유희와 황홀경으로 바꿔, 그만의 단단한 시어를 구축하고 있다.

“뱃길 없는 섬/ 이마 벗어진 무덤가 할미꽃/ 바닷바람에 허리 괜찮을까요?/ 신호등 없는 마을의 카페/ 문 여닫는 그림자 없어/ 오늘 불 꺼지지 않을까요?/ 어느 시인의 외딴 골방/ 쓰다 만 원고지 빈칸에/ 봄볕 발자국 남기고 갈까요?”(시 ‘문안하다’ 부분)

“붕어의 마음을 가장 잘 아는 이는/ 붕어를 낚는 낚시꾼도 낚이는 붕어도/ 운암호에 떠 있는 붕어섬도 아니다/ 추위의 강에서 대물은 아니지만/ 그저 그런 크기의 붕어를 건져 올린/ 전주노동청 앞 붕어빵 장수이다”(시 ‘봄이 되면 붕어빵 장수는 무얼 할까’ 부분)

“밥은 끼니 이전에 인사다/ 밥 먹었는지 궁금해하는 건/ 그의 한 끼 미지근하지 않은지/ 삶의 온도를 문안하는 거다/ 삶 깨지락깨지락하지 않고/ 밥심으로 차지게 뜸 들어/ 바람에 끈끈하게 버티는지/ 안녕에 관해 안부하는 거다”(시 ‘밥’ 부분)

가볍게 들여다본 시상 속에도 느껴지 듯, 최 시인의 시에는 작가의 상상력이 체험에 포개져 정서와 사상의 깊이와 진정성을 견인하고 있음이 전해진다.

권대근 대신대학원대학교 교수는 시평을 통해 이번 시집을 ‘타인의 고통에 대한 위로, 내시경으로 본 객체의 내부’라고 정의했다.

권 교수는 “최재선의 시는 늘 변화의 도정에 있고 자신의 존재론적 위치를 타자의 환경에 맞춰 이동시키고 있어 시 정신이 빛난다”며 “그는 시대가 바뀌어도 쉽게 진화되지 않고, 개선되지 않는 불편한 현실을 잘 조준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삼라만상에 존재하는 하찮은 것에서 고귀한 것에 이르기까지 시인 나름의 방식으로 각각이 지닌 아픔의 언어를 잘 듣고자 한다”며 “최재선은 타인의 고통에 위로를 보내면서, 인도주의를 그의 시에 구축하는 구원의 시인이다”라고 덧붙였다.

image
최재선 씨

최재선 시인은 수필가 활동을 비롯해 한일장신대 교수로서 후학을 양성하고 있다. 저서로는 <잠의 뿌리>, <마른 풀잎>, <내 맘 어딘가의 그대에게>, <첫눈의 끝말>, <그대 강같이 흘러줄 이 있는가>, <문안하라>, <단 하나만으로> 등이 있다.

전현아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올해 100대 기업 여성임원 476명 역대 최다…전체 임원 중 6.5%

정치일반'검은 수요일' 코스피 6%↓…급등 부담 속 'AI 버블론'이 직격

군산“군산에 오면, 미래 체육을 만난다”

전주전주시의회, 18~26일 행감…시민 제보 접수

정읍정읍 바이오매스발전소 건립 공사중지 가처분 신청 기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