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보도자료

사람을 이야기하다…한상준 소설집 ‘미완의 귀향’

농민 백남기, 반체제 학자 송두율, 교사 서미림 등 실존 인물 등장
세상 살면서 잊지 말아야 할 인물을 주인공으로 8편의 소설 담아

image
한상준 소설집 '미완의 귀향' 표지/사진=예스24 제공 

한상준 소설집 <미완의 귀향>(나무와 숲)은 사람에 대한 이야기다. 

질박하고 강건했던 농민 백남기, 참된 농사꾼이자 견고한 진보주의자 김일순, 경계인으로서의 삶을 산 반체제 학자 송두율, 교육 현장에 몸담았던 아홉 도반, 학교를 떠나게 된 교사 서미림, 저자의 절친한 벗 고(故) 박배엽의 이야기다. 

한상준 작가는 스스로에게 묻고, 스스로 해답을 찾아 소설을 구현했다. 가슴에 힘껏 그리고 가득 품고 있던 실존 인물을 소환해 소설 속 화자이자, 주인공을 등장시킨 것이다. 

image
한상준 작가/사진=예스24 제공 

소설집 <미완의 귀향>은 표제작 미완의 귀향을 비롯해 농민, 동맑실 조신한(曺迅翰) 이장의 운멩, ‘연향동파’ 유령의 길로 나서다, 서미림 선생, 오래된 잉태, 이장(移葬), 만행(萬行) 등 작품 8편이 수록되어 있다.   

지난 2003~2004년 한국 사회를 떠들썩하게 했던 재독 학자 송두율 교수의 귀국과 구속, 재판과 강제 출국, 그리고 끝내 고국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은퇴한 송 교수의 삶을 언론사 기자의 눈으로 담아낸 표제작 미완의 귀향. 소설은 ‘그 뒤…’‘그 후…’‘그렇…’ 세 파트로 나눠 전개된다. 두 번의 개작을 거친 작품으로 분단된 조국에서 학자의 양심과 사상의 자유가 어떻게 억압당하고 삶을 구속하는지 절제된 언어로 풀어냈다. 

2015년 민중총궐기대회에 참가했다가 물대포를 맞고 쓰러진 백남기 농민의 삶의 애환을 1인칭 시점으로 쓴 소설 ‘농민’에서는 농업과 농촌에 대한 뜨거운 애정을 샘솟게 한다. 그동안 농업‧농민 소설을 쓰며 농업과 농민 문제에 대한 인식을 넓혀온 작가의 예리한 시선을 엿볼 수 있다. 

이외에도 작가의 절친한 벗으로 시인이자 문화운동가였던 고 박배엽이 폐암에 걸리자, 그의 쾌유를 빌며 쓴 소설 ‘오래된 잉태’와 폭력과 폭압으로 일상화된 학교로부터 내몰려 학교를 떠난 이후 끝내 시를 쓰지 못하게 된 교사의 이야기를 풀어낸 ‘서미림 선생’ 등 여러 인물이 빚어내는 서사적 하모니가 읽는 즐거움을 선물한다. 

이병천 소설가는 추천의 글을 통해 “한상준의 소설을 읽으면서 부득불 우리 젊은 날의 꿈들을 떠올린다”며 “그가 세상을 살아오면서 잊지 말자고 반추하는 인물들은 핍박 없는 세상을 견인하려는 운동가이거나 올곧은 세상을 위해 헌신한 이웃들이다. 그의 소설이 아름다운 이유”라고 밝혔다. 

1955년 고창에서 태어난 작가는 김제 금구면 소재의 고등공민학교에서 소작인의 자녀를 가르친 바 있다. 1994년 <삶, 사회 그리고 문학>에 ‘해리댁의 망제’를 발표하면서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그동안 장편소설 <1986, 학교>를 비롯해 소설집 <오래된 잉태>, <강진만>, <푸른농약사는 푸르다> 등을 펴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외교 ‘강행군’ 여파 속 일정 불참

스포츠일반[제37회 전북역전마라톤대회] 전주시 6시간 28분 49초로 종합우승

스포츠일반[제37회 전북역전마라톤대회] 통산 3번째 종합우승 전주시…“내년도 좋은 성적으로 보답”

스포츠일반[제37회 전북역전마라톤대회] 종합우승 전주시와 준우승 군산시 역대 최고의 박빙 승부

스포츠일반[제37회 전북역전마라톤대회] 최우수 지도자상 김미숙, “팀워크의 힘으로 일군 2연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