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남 녹취'에 "일방적 주장...스스로 허황된 실언이라 밝혀"
김여사 명품가방 수수의혹 무혐의 처분엔 "특별히 입장 없다"
'탄핵준비 의원연대' 결성에 "탄핵준비연대 아닌 방탄준비연대"
"법 왜곡죄 입법은 이재명 대표 방탄을 위한 원님 재판"
대통령실은 2일 여당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김건희 여사의 대국민 사과 요구와 관련해 "다양한 의견을 듣고 있다"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기자들과 만나 "'검토한다', '사과에 무게를 두고 있다' 등의 보도가 나오지만 현재 드릴 수 있는 말씀은 다양한 의견을 듣고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국민의힘 친한계 인사들은 명품 가방 수수 논란·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 연루 의혹·공천 개입 의혹 등과 관련해 김 여사가 직접 사과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또 김대남 전 대통령실 선임행정관이 국민의힘 7·23 전당대회를 앞두고 한동훈 당시 후보를 공격하는 보도를 해 달라고 요청한 녹음이 공개된 데 대해서는 "일방적인 주장일 뿐인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일축했다.
앞서 유튜브 채널 '서울의소리'가 공개한 녹취에 따르면 김 전 선임행정관은 전당대회를 앞두고 서울의소리와의 통화에서 "김건희 여사가 한동훈 후보 때문에 죽으려고 한다. 이번에 잘 기획해서 치면 여사가 좋아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김 전 행정관 스스로 본인 발언에 대해 허황된 실언이라고 밝혔다"며 "일련의 주장들은 김 전 행정관이 스스로 말했듯 과장된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 전 행정관은 본인이 밝힌 대로 영부인과 연락이 전혀 안 되는 실무급 행정관이고, 해당 발언은 지난해 10월 대통령실 퇴직 후에 한 발언들"이라고 덧붙였다.
이 관계자는 또한 검찰이 명품가방 등을 수수한 의혹을 받는 김 여사를 무혐의 처분한 데 대해서는 "특별히 입장이 없다"며 말을 아꼈다.
검찰은 이날 명품가방 등을 수수한 의혹을 받은 김 여사의 청탁금지법 위반 혐의에 대해 '혐의없음'으로 불기소 처분했다. 김 여사에게 명품가방 등을 건넨 최재영 목사도 같은 처분을 받았다.
이와 함께 야당 일부 의원들이 '윤석열 탄핵준비 의원연대'를 결성한 것에 대해 이 관계자는 "야당이 탄핵 중독의 늪에서 하루빨리 빠져나와 대한민국의 헌법과 자유민주주의가 제대로 서기 바란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야당의 일부 국회의원이 탄핵 콘서트를 연다고 하고, 대통령 탄핵준비의원연대를 가동하는데 제가 보기에 탄핵콘서트가 아니라 방탄콘서트이고, 탄핵준비의원연대가 아니라 방탄준비의원연대"라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야당 인사를 조사하는 검사와 판사를 불러다 청문회하고 탄핵하겠다는 것도 모자라 헌법의 수호자인 대통령까지 탄핵하겠다고 나서고 있다"며 "당대표 수사를 막겠다고 당대표를 수사하는 검사와 판사를 탄핵하는 것이 과연 공당의 모습인지 묻고 싶다"고 말했다.
이어 "당대표 방탄하라고 국민들이 다수당을 만들어준 것은 아니라고 본다"며 "갖가지 가짜뉴스와 음모론을 씌워 탄핵 바람을 일으킨다고 혐의가 없어지는 것은 아니지 않나"라고 반문했다.
야당이 추진 중인 '법 왜곡죄' 입법에 대해서는 "그야말로 이재명 대표 방탄을 위한 원님 재판"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검사가 법률을 왜곡해서 적용하면 처벌하겠다는 법안인데 왜곡이라는 것은 누가 판단하는 것인가"라며 "다수당의 힘을 등에 업고 이재명 대표 방탄을 위해 검찰을 겁박하고 입법권을 남용하는 반헌법적 발상으로밖에 볼 수 없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이 관계자는 윤석열 대통령이 이날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를 제외한 추경호 원내대표 및 원내지도부, 각 상임위원장 및 상임위 간사단 등을 대통령실로 초청해 만찬을 갖기로 한 것에 대해서는 '당에서 요청한 자리'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한 대표 만찬 제외 배경에 대해서는 즉답을 피했다.
한 대표가 만찬에 포함되지 않은 것은 '면담 요청 거절'이라는 해석에 대해선 "오늘 만찬과 연계시키는 것은 (맞지 않고) 이 만찬은 별개"라며 "면담 요청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를 고려해서 결정할 문제"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