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해 3000만원 예산 투입해 참가자 모집하고 지역 홍보
'한 달 여행하기' 프로그램으로 실제 관광객 유입 확인 불가
예산 투입되는 형태로 사업 진행되다 보니 전북 특색 잃어
최영기 교수 "체류인구 늘어날 수 있도록 정책 제도 준비 필요"
전북특별자치도가‘한 달 여행하기’체류형 관광프로그램을 통해 지방 소멸 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지만 실제 체감 효과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칫 ‘제주 한 달 살기’ 아류작으로 변질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단순 방문형 관광에서 벗어나 머무는 관광을 유도해 지역경제 활성화와 생활 인구 확대까지 연결하겠다는 전략이지만, 10년째 전북에 유입되는 인구보다 유출되는 인구가 더 많은 실정이다.
단기 방문 관광에서 장기 체류형 관광으로 전환하고 실제 지역 정착으로까지 이어질 정책 마련이 요구된다.
13일 전북문화관광재단에 따르면 지난 2021년부터 체류형 관광객 확대와 지역경제 활성화 제고를 목적으로 도내 장기체류 여행 프로젝트인 ‘한 달 여행하기’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한 달 여행하기는 도외 거주자, 외국인 유학생, 펫팸족(반려동물과 가족의 합성어) 등을 모집해 체류비를 지원하고 도내 관광지를 홍보하는 프로그램이다. 최소 7박부터 최대 29박까지 체류기간에 숙박비(1일 7만 원)와 체험비(1인 15만 원), 여행자 보험(1인 2만 원) 등을 제공한다.
문제는 한 달 여행하기 프로그램의 효과성 입증이 어렵다는 점이다. 매해 3000만 원의 예산을 투입해 참가자를 모집하고 SNS에 지역을 홍보하고 있지만, 프로그램을 통해 관광객이 얼마나 유입됐는지는 확인하지 않고 있다. 이러다보니 실제 체류형 관광객 확대나 생활인구 확대까지는 엄두도 내지 못하는 실정이다. 또한 예산을 투입하는 형태로 사업이 진행되다 보니 전북만의 특색이나 변별성을 잃어 ‘지역다움’도 찾기 어려운 형편이다.
그 사이 전북의 소멸위기는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국내 인구이동 자료를 보면 지난해 전북에서는 5800여명이 순 유출되는 등 2012년부터 전출 인구가 전입 인구를 앞질렀다. 특히 18세에서 39세 사이 청년 인구는 38만 5000여 명으로 전체 인구의 22.2%에 불과했다. 이는 2020년 24.4%에서 해마다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정책적인 목적을 방문의 개념에서 체류의 개념으로 넓혀가야 한다고 제언한다. 단순히 지역을 알리는 행위에서 벗어나 이곳에 ‘머물고 싶다’, ‘살고 싶다’로 개념이 전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최영기 전주대 관광경영학과 교수는 “방문자들이 지역으로 이주할 수 있도록 정책 포커싱을 바꿔나가야 한다”며 “장기적으로 체류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고 제도적으로도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전북문화관광재단 관계자는 “여건상 한 달 여행하기 사업을 통해 ‘관광객이 얼마나 왔느냐’라는 성과를 도출하기는 어렵다. 다만 전북 관광을 노출하고 알리기 위해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며 “체류형 관광객 확대 등을 위해 14개 시군의 특화 콘텐츠를 관광 상품으로 개발하고, 테마별로 관광객을 달리해서 마케팅 등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