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가 ‘K-김’ 산업을 글로벌 식품산업의 허브로 키우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25일 전북자치도에 따르면 김은 도내 수산물 총생산량의 약 80%(3만 3254t), 생산액의 63.6%(661억 원)를 차지하는 대표 품목이다.
지난해 전북 농수산식품 수출액 5억 9700만 달러(8360억 원) 중 마른김·조미김 수출액은 4380만 달러(약 613억 원)에 달해 전체의 7.4%를 차지했다.
도는 늘어나는 세계 수요에 대응해 2019년부터 제한됐던 신규 김 양식장 개발을 지속적으로 정부에 건의했다. 그 결과 지난해 470㏊의 신규 승인을 확보하며 전체 양식 면적을 5600㏊로 늘렸다.
이에 따라 생산량은 2015년 1만 2605t에서 지난해 3만 3254t으로 2.6배, 생산액은 111억 원에서 661억 원으로 6배 가까이 늘었다.
특히 고창 지주식 김 양식장이 원전 피해보상으로 중단됐다가 법령 개정을 통해 올해 200㏊ 규모로 재개된 점이 주목된다.
40여 어가가 참여해 연간 30억 원 규모의 추가 소득이 기대되는 가운데, 도는 올해만 27억 원을 투입해 우량 종자 보급, 노후 어구 교체, 친환경 부표 보급 등 맞춤형 지원에 나서며 어가 경영 안정과 품질 고도화에도 힘을 쏟고 있다.
생산을 넘어 가공·수출로 이어지는 전주기 생태계도 본격 조성된다.
도는 새만금국가산업단지에 2027년 가동을 목표로 수산식품 수출가공단지를 조성 중이다. 총 12개 기업이 입주할 예정이며, 이 중 6곳은 마른김·조미김 가공업체다. 단지가 완공되면 연간 3만t의 물김 가공이 가능해져 현재 도내 가공능력(1만 8000t)을 크게 웃돌 전망이다.
도는 단지 조성과 함께 해수 인·배수 시설, 배출수 정화시설, 내부도로 등 기반시설 확충에 170억 원 이상을 투입해 안정적인 운영 환경을 마련하고 있다. 이를 통해 수출 전용 라인을 갖춘 원스톱 가공·물류 체계가 구축되면, 김 산업은 전북의 수출 저변 확대와 일자리 창출을 동시에 견인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미정 도 새만금해양수산국장은 “전북이 구상하는 김 산업의 미래는 세계 식품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춘 새로운 성장축이 될 것”이라며 “정부·연구기관·기업과 협력을 강화해 전북을 글로벌 K-김 허브로 도약시키겠다”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