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대표 소설가 황석영 문화예술분야 정부포상 최고 영예 ‘금관문화훈장’ 수훈 군산에서 KAALA(칼라문화재단) 이사장으로 취임, 문화운동 펼쳐
전북과 각별한 인연을 이어가고 있는 황석영(본명 황수영) 소설가가 문화예술 분야 정부포상 최고 영예인 금관문화훈장을 받는다.
문화체육관광부는 7일 ‘2025년 문화예술 발전 유공자’로 문화훈장 수훈자 17명과 대한민국 문화예술상(대통령 표창) 수상자 5명,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문체부장관 표창) 수상자 8명, 예술가의 장한 어버이상(문체부장관 감사패) 수상자 3명 등 총 33명을 선정해 발표했다.
1943년 중국 만주 장춘에서 태어난 황석영 소설가는 동국대 철학과를 졸업했다. 고교 재학 중 단편소설 <입석부근>으로 사상계 신인문학상을 수상했다. <객지>(1971) <아우를 위하여>(1972) <삼포 가는 길>(1973) <장길산>(1974~1984) <오래된 정원>(2000) 등 문학사에 획을 긋는 작품들을 발표하며 한국문학의 흐름을 이끌었다.
황석영 작가는 단순한 작품 활동에 그치지 않고 깊이 있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사회적 치유와 성찰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군산에 거주 중인 황석영 작가는 최근 KAALA(칼라문화재단 ‧Korea with Asia, Africa and Latin America) 이사장으로 취임하며 “과거의 기억을 예술과 연대로 변환하는 새로운 문화운동을 이어가겠다”는 포부를 전하기도 했다.
현재는 군산을 배경으로 한 작품을 탈고 중이며 KAALA를 중심으로 세계적인 문학상을 제정하기 위한 준비에 돌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체부는 ‘문화의 날(10월 셋째 주 토요일)’을 계기로 대한민국 문화예술 발전에 기여한 문화예술인들에게 감사를 표하고 이들을 격려하기 위해 1969년부터 ‘대한민국 문화예술상’을 시상했으며 1973년에 ‘문화훈장’을 포함, 훈격을 높여 매년 문화예술 발전 유공자를 포상해오고 있다.
시상식은 이날 오후 2시 서울 서대문구 모두예술극장에서 열린다.
박은 기자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