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공간은 무엇으로 이루어지는가?, plan C 종료전 ‘모두가 아는 도둑질'

12월 5일까지 한옥마을 사용자 공유공간 플랜씨에서 전시

플랜씨에서 12월 5일까지 열리는 기획전 ‘모두가 아는 도둑질: 공간은 무엇으로 이루어지는가?’ 전시 모습/사진=플랜씨 제공

전주한옥마을에 위치한 사용자 공유공간 planC(플랜씨)가 8년 6개월간의 활동을 종료하는 두 번째 기획전을 선보인다.  사용자 공유공간 planC 종료전 ‘모두가 아는 도둑질: 공간은 무엇으로 이루어지는가?’에는 김민희, 김보미, 최지영, 채리, 박온유 등 서른일곱 팀의 예술가가 참여했다.

전시는 ‘도둑질’이라는 파격적인 형식을 통해 예술가가 공간에 작품을 반입하는 방식을 완전히 뒤집는다.

임은혜 작가 작품/사진=플랜씨 제공

일반적으로 작품이 완성된 후 전시장으로 반입되는 기존의 전시 구성방식과 다르게 전시에서는 예술가가 먼저 공간의 일부를 훔치고, 그 훔쳐간 ‘공간’을 기반으로 작품을 제작했다. 그리고 다시 완성된 작품을 공간에 설치한다.

참여 작가들은 사용자 공유 공간의 창문이나 벽 등의 구조물을 뜯어내기도 하고, 긴 커텐이나 독특한 장식의 보관함 등 ‘plan C의 일부'라고 부를 수 있는 모든 것들을 잘라 도둑질한다. 특별한 점은 이 공간에서 도둑질은 절도행위가 아닌, 공간이 무엇으로 이루어지는지를 드러내는 창작적 제안이라 할 수 있다.

김다이 작품/사진=플랜씨 제공

이러한 과정들은 plan C라는 물리적 공간을 해석하는 것을 넘어 ‘공간’이라는 것을 구성하는 요소가 무엇인지, 예술이 어떻게 ‘장소’와 감응하는지를 되묻는 장치로 기능한다. 도둑질이라는 놀이적 요소들을 더해 예술가의 욕망을 자극하고 다양한 재해석을 입체적으로 시각화한다.

오는 12월 3일 오후 4시에 독립 큐레이터 그룹 CLab 포럼 ‘불완전한 이상이 실현될 때 어떤 공동체가 형성되는가?’를 진행한다. 사용자 공유공간 planC(플랜씨)의 첫 시작을 함께한 이산의 기조발제를 시작으로 생태적지혜연구소 협동조합 이승준 이사장과 연결기획자 톨, 예술사회학 연구자 김신윤주 등이 참여해 예술담론을 형성할 예정이다. 포럼이 종료된 후에는 참여작가인 김이중과 유승협 작가의 퍼포먼스가 이어진다.

전시는 12월 5일까지 만날 수 있으며 관람 시간은 오후 1시부터 7시까지다.

 

박은 기자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전북정치의 겉과 속] “부실한 지역경제, 정치인 레토릭 남발”

국회·정당민주당 ‘1인1표제’ 결정 연기…공천 규칙에 전북정치 판도 좌우

정치일반전북시외버스 노조 “전북도, 불리한 판결나와도 항소말라”

정치일반강훈식 실장 “외교성과 확산 및 대·중소기업 상생” 강조

정치일반새만금개발청, 중국 투자유치 활동 본격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