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11-06 20:19 (Thu)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본보 창간 60주년 기념 사진전 '전북의 자화상-60년의 기록, 역사를 말하다' 막내려

'전북일보가 존재한 이유, 존재할 이유가 여기에 있다.'전북일보 창간 60주년 기념 사진전'전북의 자화상 - 60년의 기록, 역사를 말하다'가 10일 막을 내렸다. 지난달 28일 한국소리문화의전당 전시실에서 개막한 이번 전시에 다녀간 관람객은 총 1만여 명. 당초 8일까지 예정이었으나 관람객들이 급증하면서 10일까지 연장 전시됐다.1950년 10월 15일 창간호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전북일보의 지면에 소개되었거나 소개되지 못했던 사진까지 총 700여 점이 소개됐다. 이번 전시는 굴곡의 현대사 60년을 10년 단위로 되짚어 새로운 전북의 미래를 조망해보는 '전북 60년'을 비롯해 '전북일보 60년','새만금','웃는 전북','생태' 등 주제전으로 구성됐다.전북의 60년 기록은 잊혀졌던 역사를 복원해내고, 전북에 새로운 희망을 안겨줬다는 평가를 얻었다. 그 시대를 살았던 세대에게는 아련한 향수를, 어른들로부터 그 때 그 시절의 이야기를 들었던 청소년에게는 지나간 역사와 조우하는 시간이 됐다. 이명박 대통령은 개막식 당일 화환을 보내 역사의 기록자로, 자유민주주의의 수호자로 지역 발전과 함께 호흡해온 전북일보의 창간 60주년을 축하했으며, 도민들도 전북일보가 60주년에 이어 100주년까지 발전하길 응원하는 글들을 남겼다.1960년부터 1990년까지 본보 사진기자로 활동해온 김영채·정지영 전 사진부장은 이번 전시의 숨은 공로자. 김 전 부장의 꼼꼼한 기록을 바탕으로 정 전 부장이 디지털자료화사업 기획위원으로 위촉돼 전반적인 작업을 주도했다. 이들은 "기대 이상으로 도민들이 관심을 보여줘 고생한 보람이 있다"며 "막상 전시를 마무리하려니, 홀가분함보다 아쉬움이 더 큰 것 같다"고 말했다.많은 세월이 흘렀지만 서해 훼리호 침몰·이리역 폭발 사건은 아직도 가슴 아픈 상흔으로 남아 있다. 이명우(59·전주시 인후동)씨는 "당시 군산 공설운동장에서 '깨복쟁이 친구'의 죽음을 확인했던 기억이 아직도 선하다"며 사진 앞을 떠나지 못했다. 부모의 손을 잡고 온 아이들은 이리역 폭발 사고 전·후의 사진을 확인한 뒤 놀란 입을 다물지 못했다. 1980년대 민주화 열기로 뜨거웠던 시절을 돌아본 이들은 '눈물겨운 역사를 잊지 않겠다','옛날에는 나쁜 대통령이 있었다','무섭고 잔인한 세상에서 살아남은 사람들이 대단하다'등의 말을 남겼다.전북일보 60년 발전과 궤를 함께 해오며 울고 웃었던 시민들의 기억도 복원됐다. '1950년대 고사동 사옥에서 인쇄된 신문을 자전거로 부안까지 싣고 다녔던 기억이 되살아난다'(양만성씨),'사진 속에서 옛날 우리집도 찾았다'(조영호씨) 등 빛바랜 기억들이 추억으로 떠올랐다.창간 60주년을 맞아 더 새롭고 역동적인 언론으로 도약하겠다는 의지를 다짐한 전북일보는 전시에 내놓지 못했던 수천 장의 디지털사진을 담은 도록을 출간할 예정이다.

  • 포토
  • 이화정
  • 2010.10.11 23:02

[전북일보 창간 60주년 기념 사진전]현장 스케치②

다사다난했던 전북의 60년 역사가 한 폭의 수채화처럼 사진으로 펼쳐져 있다. 굴곡의 역사를 온몸으로 부대끼며 살아온 이들은 시간여행을 하듯 천천히 한 컷, 한 컷 사진을 훑어봤다. 개인마다 갖고 있는 경험의 폭과 깊이만큼 사진 속에서 추억은 새록새록 피어났다.전북일보 창간 60주년을 맞아 기획된 사진전 '전북의 자화상-60년의 기록, 역사를 말하다' 개막식이 열린 28일 오후 3시 한국소리문화의전당 전시실.김완주 지사를 비롯한 도내 시장·군수와 김춘진·신건·장세환 의원, 임병찬 전북도민일보 사장과 김광호 (주)흥건 회장 등 지역 인사 등은 '전북의 어제'를 봤다. 그리고 오늘과 내일을 함께 생각했다.전북일보 60년 역사의 주역들은 더 큰 감회를 느꼈다. 진기풍 강암서예학술재단 고문, 김종량 전일회 회장, 김승일 전 완주신문 사장, 문치상 전 도립국악원장, 최공엽 대한적십자 전북지사 회장, 육완태 전 편집국장, 서정일 전북수영연맹 회장, 김재금 우석대 사무처장, 장세환 국회의원, 김영채 전 사진부장 등 전북일보 출신 인사들도 이날 사진전을 찾아 진한 향수를 느꼈다. 때로는 사진 앞에 멈춰서 깊은 상념에 빠지기도 했다."그래 저 터널로 기차가 다녔지. 그때 승암산은 아주 민둥산이었구먼."(한벽당 터널, 1969.11.1)"곰티재에서 버스가 굴러 140m 낭떠러지로 떨어졌지만 저 모자만 기적같이 살았지요."(곰티재 사고 생존 모자, 1969.6.6)"저기 있던 덕진연못은 없어졌지요. 그때는 나무가 저렇게 무성했는데요."(단옷날 풍경, 1965.6.4)사진 한 컷마다 각자의 사연과 기억이 듬뿍 쏟아져 나왔다.장세환 의원은 "저 사진 속에 제가 있네요, 그때는 장발이었죠"라며 금암동으로 사옥을 옮긴 뒤 첫 창간일에 찍은 기념사진을 보며 웃음을 터트렸다.사람들은 이리역 폭발사고(1977.11.11)와 서해훼리호 참사(1993.10.13) 등을 보며 가슴 아파했고, 본보가 기획한 갖가지 생태사진과 새만금 사진 등을 보며 미소를 짓고 희망을 품었다.김영기 참여자치전북시민연대 집행위원장은 "전북의 60년 사진전은 전북일보만 할 수 있는 일이다"며 "80~90년대 투쟁하던 현장의 생생한 기록을 보니 그때 일이 떠오른다"고 말했다.전북일보와 동갑으로 올해 60주년 행사를 치른 대전일보의 신수용 사장도 전시회를 찾았다.신 사장은 "전북일보의 60년이 전북의 60년이라 할 정도로 전북역사의 산증인 역을 톡톡히 하고 있다"며 "이 사진들이 도민들에게 추억을 주고 자존심을 불러일으키는 만큼으로 도민 역시 지역의 대표신문 전북일보를 아끼고 사랑해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전시회장을 둘러보느라 북적거리는 틈바구니에서 누군가 말했다."이건 기록이기도 하지만 예술이라 말하는 게 더 걸맞겠네요."60년에 걸쳐 일어난 도내 굵직한 사건과 사람들의 삶과 일상.그 속에서 피어난 기쁨 희망 아픔 슬픔을 담은 700여점의 사진은 다음달 8일까지 시민들의 발길을 기다린다.

  • 포토
  • 임상훈
  • 2010.09.29 23:02

[전북일보 창간 60주년 기념 사진전]현장 스케치①

전북 60년의 기억, 20대에게는 어떻게 다가왔을까. 전북의 자화상 사진전에는 20대 젊은이들도 눈에 띄었다."부모님에게 전해들은 70년대 이리역 폭발사고를 직접 보니까 가슴이 아프기도 하고 한편으로는 신기하기도 해요. 80년대 이후 사진은 어느 정도 내용을 아는 사진이라 더 재미있어요."양효경씨(23)는 태어나기 훨씬 전에 있었던 일들을 마치 현장에서 보는 듯한 재미가 꽤나 쏠쏠하다고 했다.양씨는 "전혀 몰랐던 일들이지만 우리 아버지, 어머니 때에 다 겪었을 일들이라 친근감이 든다"고 말했다.군산에서 살고 있는 이가을씨(22)에게는 특히 군산지역 사진과 사건들이 더 친근하게 다가왔다."초가집이 가득한 옛날 (군산시) 해망동 사진을 봤는데요. 제가 그 앞 동네에 살거든요. 예전엔 그랬구나 하는 생각을 하니까 참 재미있어요."이씨는 "근현대사에 관심이 많은데 역사책만 보다가 실제 있었던 일들을 시간 순으로 볼 수 있어 새로운 것들을 느끼게 됐다"고 말했다.특히 자신이 태어나기 열흘 전 발생한 참사인 진안 곰티재 버스 추락사고 사진을 보며 많은 것을 생각하게 됐다고 했다.대학 제자들과 함께 전시회장을 찾은 우석대 연극영화학과 김영혜 교수는 "학생들이 별 관심이 없을 줄 알았는데 굉장히 흥미있어 한다"며 "살아있는 역사 공부의 현장이 되고 있다"고 평했다.김 교수는 또 "요즘 학생들에게 다큐멘터리에 대해 가르치고 있는데 많은 도움이 됐다"며 "젊은 학생들도 전시회장을 찾아 전북의 발자취를 돌아보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 포토
  • 임상훈
  • 2010.09.29 2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