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류독감 영향으로 닭 소비가 급격히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소비자가격은 내리지 못하는 기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소비감소에 따라 도계물량이 크게 준데다 관련농가 및 업계의 생산비 보전이 어려운 상황이어서 가격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11일 농협전주하나로클럽과 이마트 등 유통업계에 따르면 토종닭의 경우 마리당 3천400원에서 4천500원에 판매하고 있으며, 하림 팩포장은 1천900원선에 팔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격은 지난해 12월초 조류독감 발생전과 비교해 거의 변동이 없는 수준이다.
닭 관련 매출은 발생전과 비교해 최소 70%이상 감소했다. 이마트 전주점의 경우 평소 하루평균 매출이 1백만원선이었는데, 최근에는 15만원대에 그치고 있다. 그나마 저녁시간 떨이판매로 물량을 소진하고 있다.
이에따라 유통업계가 발주물량을 크게 줄인 상태며, 가공업체도 도계물량을 대폭 줄였다.
하림은 지난 설을 기점으로 도계물량을 하루평균 30만마리에서 15만마리로 줄였으며, 미림 토종닭도 공급물량을 평소대비 90%이상 줄인 상태다. 이보다 영세한 사육농가는 더욱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양계 생산 및 가공, 유통업체에서 가격을 못내리고 있는 형편이다.
하나로클럽 정상철팀장은 "닭 소비량이 크게 줄었지만 이에 못지않게 생산량도 감소했다”며 "사육농가와 가공업체가 어려움을 겪고 있어 가격을 조정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오리의 경우는 관련업체들이 줄줄이 도산해 유통매장에서 찾아볼 수 없는 상황이다.
하나로클럽의 경우 지난해 12월말부터 아예 오리를 판매하지 않고 있으며, 이마트역시 판매코너가 없어졌다. 생산업체가 부도나면서 공급이 끊긴데다 유통업계도 안정화 될때까지 판매를 중단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조류독감 반사이익을 얻고 있는 돼지고기는 가격이 꾸준히 오르고 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