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방은 최근들어 미국등 의료선진국에서까지 대체의학으로서의 가치를 인정하고 활발한 연구를 진행하면서 그 위상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정부가 한방산업단지를 조성하고 한방의 과학화와 세계화를 위한 각종 시책을 추진하는 것은 한방의학 육성을 위한 의지로 풀이된다.
특히 전북의 경우 훌륭한 한방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어 정부시책에 접근하기 쉬운 것이 사실이다. 전국 11개 한의과대학중 2개, 한약학과 3개중 2개가 도내에 설치돼 매년 우수한 졸업생을 배출하고 있다. 또 전통을 자랑하는 전주 약령시와 함께 전국 약용식물 재배면적의 15%에 이르는 생산기반을 갖추고 있는 것도 장점이다.
이같은 풍부한 한방자원을 최대한 활용 특화시켜 '한방산업 메카'로 발돋움 하려는게 전북도의 야심찬 계획이다. 이를 위해 지난해 4개 팀에 50명 규모로 한방산업 추진기획단을 발촉시키는 한편 실현 가능성이 높은 16개 사업에 대한 구체적 추진방안을 마련하여 지난 2월초 발표하기도 했다.
그러나 전북도의 구상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는 것만은 아니다. 한방산업 육성에 전북보다 한발 앞서 출발한 대구·경북은 말할 것도 없고 제주, 전남, 강원, 경남지역까지 한방산업을 전략산업으로 설정하고 뛰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사실 한방산업은 퇴락해가는 농촌을 살리고 농가소득증대에도 도움이 기대되는 매력적인 산업으로 어느 자치단체나 나름대로 관심을 갖지 않을 수 없다. 실제 전국적으로도 26개 기초단체가 한방 산업단지 조성에 참여하고 있는 것이 이 산업에 대한 높은 선호도를 반증하는 사례다.
도내 기초단체도 예외가 아니어서 마찬가지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도내의 경우 전주시를 비롯 익산, 정읍, 남원, 완주, 진안등 6개 자치단체가 경쟁적으로 제각각 한방관련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사업내용도 비슷하거나 중복되는 부분이 많다. 과잉 중복투자에 따른 사업성 저하 및 경쟁력 약화를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그대로 계속 추진할 경우 모두가 낭패를 볼 것은 불보듯 뻔하다. '선택과 집중'이 절실히 요구되는 대목이다.
이처럼 기초단체간 과당경쟁으로 이해가 상충될때 상위 자치단체인 전북도가 조정역을 맡는 것은 너무 당연한 일이다. 자치단체별로 생산 가공이나 유통, 서비스 분야별로 특성에 맞춰 상호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여 전북의 한방산업단지 조성이 성공할 수 있는 방안을 전부도가 적극 모색하기 바란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