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가 실과별 행정성과평가를 실시, 성과상여금을 지급했으나 공무원노조에서 반납운동을 통해 다시 균등분배하고 나서 성과급 도입취지가 무의미하다는 지적이다.
시에 따르면 전북대 지방자치연구소에 3천6백만원을 들여 행정성과평가제 연구용역을 의뢰, 시 본청과 완산·덕진구청, 사업소 및 각 동사무소 등 88개 부서에 대한 평가를 실시해 이를 4개 등급으로 분류했다.
시는 이에 최상위 S등급의 경우 본봉의 80%, A등급은 65%, B등급은 55%, C등급은 40%를 각각 책정, 총 1천7백49명에게 13억4천여만원의 성과급을 지급했다.
하지만 공무원노조에서 등급간 격차가 크다는 이유로 S등급과 A등급 대상자 3백50명으로부터 평균치 이상 금액에 대해선 반납운동을 전개, 전체 성과급의 90%는 균등배분하고 나머지 10%만 차등지급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때문에 수천만원을 투입한 평가 용역비만 낭비하고 용역기관의 평가방식에 대해서도 공무원사이에 문제점을 제기하는 등 성과급 시행취지가 무색해지고 말았다.
시 관계자는 이와관련 "내년부터 평가등급을 3등급으로 축소하고 등급간 지급액 편차를 줄이는 한편 평가항목도 업무개선 위주로 변경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