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크전 최대의 동맹국인 미국과 영국이 오는 6월30일 주권을 이양한 이후의 이라크 임시정부와 미군 주도 연합군의 관계에 대해 이견을 보이고 있어 주목된다.
특히 주권이양후 미군의 활동에 대해 미국은 `독자적으로 필요한 활동을 할 것'이라는 입장을 보이고 있는 반면, 영국은 `이라크가 최종 통제권을 행사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토니 블레어 영국 총리는 25일(현지시간) 기자회견에서 주권이양과 함께 탄생하는 이라크 임시정부는 연합군 군사작전에 대해 "최종적인 정치적 통제권"을 행사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블레어 총리는 임시정부가 저항세력의 거점인 팔루자 등에 대한 연합군 공세에 거부권을 갖느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대답하고 "팔루자 같은 곳을 공격할 것인지를 결정하려면 연합군은 이라크 임시정부의 동의를 받아야만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최종적인 정치적 통제권은 이라크 임시정부가 갖게 되며 이것이 주권 이양이 갖는 의미"라고 강조했다.
미국의 부시 행정부는 그러나 이라크 임시정부는 미군의 활동에 대해 `자문하고 조정하는' 역할을 하며 미군은 임무수행을 위해 필요한 활동을 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콜린 파월 미 국무장관은 블레어 총리의 이같은 발언에 대한 논평을 요구받고 "우리는 이라크 관리들이 정치적, 군사적 레벨에서 말하는 사항들을 고려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워싱턴포스트가 보도했다.
파월 장관은 또 기자회견에서 "이라크 임시정부는 완전한 주권을 갖게될 것"이라면서도 "미군이 자신을 보호하거나 임무를 달성하기 위해서라면 필요한 것을 하게될 것"이라고 강조한바 있다.
그는 "미군이 6월 30일 주권이양 후에도 이라크 미래 정부와 안보문제를 충분히 조율할 수 있으며, 우리는 그러한 조정에 있어 많은 경험을 갖고 있고, 지난 50-60년간 전세계에 그러한 성격의 병력을 제공해왔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바그다드에 근무하는 부시 행정부의 한 관리는 미군 주도 연합군 활동에 대한 최종 통제권을 누가 갖느냐가 주권을 이양한후의 첫 관심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익명을 요구한 한 미국 관리는 워싱턴 포스트에 "이라크는 자신의 군대에 대해 특정 군사활동에 개입하지 말도록 할 권한을 갖고 있다"면서 "그러나 외국군 통제권에 대해서는 어떠한 제안도 없었다"고 말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제출된 새 이라크 결의안 초안은 연합군에 대해 `심의하고 조정하는 기구들'을 통해 이라크 임시정부와 협력해 활동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앞서 영국 외무부는 미국의 이라크 저항세력에 대한 진압작전이 `고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점을 비난해 왔다고 영국 선데이 타임스가 외무부 비밀메모를 인용, 보도했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