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여름철 필수품 '자외선 차단제'

여성고객들이 화장품매장에서 자외선차단제를 고르고 있다. (desk@jjan.kr)

 

강한 햇볕을 피해 여름철에 자주 사용하는 것이 자외선 차단제. 햇빛 속 자외선이 피부 노화와 각종 피부 질환의주범으로 밝혀지면서 자외선 차단제는 이미 생활 필수품으로 자리잡은 지 오래다.

 

올해도 화장품업체들은 자외선 차단 기능은 물론 미백, 보습, 보호 기능을 한창 강화한 신제품들을 내놓고 치열한 시장쟁탈전을 벌이고 있다.

 

하지만 자외선 차단제가 오히려 복잡한 기능 때문에 소비자들의 제품 선택에 혼란을 주거나 적절한 사용방법을 몰라 애를 먹는 이용자들이 적지 않다.

 

자외선은 비타민 D를 합성하기도 하지만 기미, 주근깨, 화상 같은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일년 내내 사용해야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충고.

 

자외선은 진피층의 콜라겐을 변형시켜 노화를 촉진, 주름을 생기게 하거나 색소침착을 유발한다. 심한 경우에는 피부암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그만큼 피부 관리가 중요하다.

 

자외선은 UVAㆍUVBㆍUVC 등 3종류가 있다. 각각 피부에 미치는 영향도 다르다. 이중 UVA는 태양광선의 90%를 차지하는 자외선으로, 멜라닌 색소를 증가시켜 피부를 검게 만든다. 다른 자외선에 비해 그 양이 많고 파장도 길어 일년 내내 접하게 되는 자외선. 유리창도 쉽게 뚫고 들어와 흔히 생활 자외선으로 불린다. 구름이나 안개 낀 날에도 안심할 수 없는 것도 바로 자외선 UVA때문이다. 반면 UVC는 피부에 미치는 영향이 다소 적은 자외선이다.

 

특히 강렬한 햇빛이 내리쬐는 여름철에 발생하기 쉬운 자외선이 UVB다. 단시간에 표피와 진피에 침투해 피부를 화끈거리게 하고 붉게 하는 홍반을 동반하고 심한 경우 물집과 발진의 증상까지 초래한다.

 

자외선 차단제에는 얼마동안 피부를 태우지 않고 햇빛에 노출시킬 수 있는지를 측정한 '자외선차단지수'(SPF·Sun Protection Factor)가 표시돼 있다. 예를 들어 맨 피부가 자외선에 노출된지 5분 만에 가려움증이나 붉게 띠는 현상이 나타나는 사람이 차단지수 15인 제품을 사용하면 75분(5분×15)동안 자외선으로 부터 피부를 지킬 수 있다. 대개 SPF 1은 15분정도의 차단력이 있는 것으로 본다. 지수가 클수록 자외선을 차단하는 시간은 길어지지만 차단력이 더 강하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자외선 차단제에는 주로 화학성분이 사용되고, 그 성분에 따라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차단지수가 높을수록 그만큼 부작용을 일으킬 가능성도 많다.

 

비 오는 날이나 실내에서는 SPF 5~15 정도의 차단제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햇빛에 오랫동안 노출된 상태에서 운동을 하거나 일을 할 때, 여름철 피서나 수상스포츠를 즐길 때에는 반드시 SPF 30~50 이상의 강한 자외선차단제를 써주는 것이 좋다. 땀을 흘리는 일을 하는 경우나 물놀이를 하는 경우에는 방수 효과가 있는 제품인지 살펴야한다.

 

자외선 차단제는 야외활동 30분전에 충분한 양을 바르고, 땀이나 물에 씻겨지면 수시로 덧발라주어야 한다.

 

자외선 차단제는 물에 잘 지워지지 않기 때문에 반드시 이중세안을 해줘야 모공이 막혀 뾰루지가 나는 등의 트러블을 예방할 수 있다.

 

안태성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안성덕 시인의 ‘풍경’] 모래톱이 자라는 달

전북현대[CHAMP10N DAY] ④미리보는 전북현대 클럽 뮤지엄

사건·사고경찰, ‘전 주지 횡령 의혹’ 금산사 압수수색

정치일반‘이춘석 빈 자리’ 민주당 익산갑 위원장 누가 될까

경제일반"전북 농수축산물 다 모였다"… 도농 상생 한마당 '신토불이 대잔치' 개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