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유적이 집중적으로 몰려 있는 중국지린(吉林)성의 지안(集安)시 당국은 최근 시 도시계획을 전면 수정했다.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문물과 유적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시정부를 포함한 시의 중심지역을 아예 다른 곳으로 이전하기로 했다.
이를 두고 한국의 일부 학자들은 유적을 보전하기 위한 노력에는 동의하면서도역사왜곡과 흐름을 같이 하는 것일 수도 있다며 경계했다.
최근 현지 언론보도에 따르면 지안시는 고구려 국내성이 있던 자리인 시 중심부에서의 건축물 증개축을 향후 50년간 금지시켜 현대화된 건물을 모두 옮긴다는 계획이다.
광개토대왕릉 부근에 형성돼 있는 공업단지도 다른 곳으로 옮겨 새로 조성할 방침이다.
이에 앞서 시는 지난해 3월 43개 산하 기관들을 시정부 건물에서 내보내고 이일대를 고구려 유적공원으로 만들었다.
또 1천150가구의 주민과 51개의 기관, 공장, 학교, 상점 등을 포함해 모두 4천145명을 다른 곳으로 옮겨가게 한 뒤 10만여㎡를 환경보호지구로 지정했다.
이와 함께 시 공안국과 문물국 소속의 문물공안파출소를 문물공안분국으로 승격시켜 관리를 강화했으며, 3명이던 직원을 12명으로 늘리고 전문가 69명을 초빙했다.
역사유적 보전을 위해 관련 조례도 제정했고 시 면적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총70만㎡를 환경보호지구로 설정했다.
이런 가운데 지린성과 지안시는 지난달 27일 고구려 문화관광제를 개최했고 문물출판사는 <국내성> <환도산성> <지안 고구려 왕릉> <오녀산성> 등 4편의 고구려유적 발굴보고서를 새로 출간했다. 유적 발굴과 보고서 발간에는 지린성과 랴오닝(遼寧)성이 참여했다. 오녀산성> 지안> 환도산성> 국내성>
이런 일련의 고구려 유적보전 활동에 대해 최근 중국을 방문한 한국의 한 역사학자는 "찬란한 문화유산을 간직한 유적을 보전하는 것은 전 인류의 몫이지만 이런작업의 이면에 왜곡된 역사 끌어안기의 불순한 의도가 숨어 있다면 큰 일"이라며 우려를 나타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