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크 안보상황 및 수니파의 총선 보이콧 논란이 계속되는 가운데 275명의 제헌의회 의원 선출을 위한 '1.30 총선전'이 15일 공식선거운동 돌입과 함께 본격화된다.
이라크 선거관리위원회는 14일까지 120개 이상의 정당이 후보자 등록을 한 가운데 수니파의 총선 보이콧 방침에 따라 등록 마감일을 10일에서 15일로 연장, 최종후보등록 정당은 200개 가량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후보등록일을 앞두고 각 정파간 후보단일화 등의 논의가 진행되고 있어 실제 후보등록 정당의 수는 예상보다 크게 증가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저항세력의 선거저지와 수니파 정당의 총선참여가 최대 변수로 등장한 가운데선거전은 전체 국민의 60%를 차지하는 시아파가 우세를 보이는 가운데 전체의 10∼15% 가량을 차지하는 쿠르드계 정당이 추격하는 양상으로 전개될 전망이다.
특히 내년 1월 30일 총선에서 선출되는 의원들은 내년 한해동안 새 정부 구성을위한 헌법제정은 물론 대통령과 2명의 부통령, 실질적인 최고권력자인 총리를 선출할 권한을 갖고 있어 각 정당 및 정파간 주도권 경쟁도 한층 치열해질 전망이다.
이라크 정치일정에 따르면 제헌의회 의원들은 내년 8월 15일까지 헌법을 제정하고 10월 15일까지 이를 국민투표에 회부해야 한다.
이어 새 헌법에 따라 내년 12월 15일 이전에 총선을 실시해야 하며, 새로 구성된 의회는 내년 12월 31일까지 헌법에 따른 정통성을 확보한 정부를 구성하게 된다.
유엔안보리 결의안 1546호에 따라 이라크내 외국군의 주둔기간도 내년 12월말완료되지만 새 정부가 요청할 경우 주둔기간을 늘릴 수 있다.
이라크 선관위는 2천600만여명의 국민 가운데 유권자는 18세 이상 국민 1천500만명 가량이 될 것으로 추산했으나, 전체 20%를 차지하는 수니파의 지도부가 총선보이콧 방침을 고수하고 있어 실제 투표율은 예측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라크 선관위는 일부 외국 영사관을 포함해 총 8천∼9천개 투표소를 설치키로하고 막판 준비작업에 돌입하고 있으나 유엔과 비정부기구 등의 선거 전문인력 지원이 부족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이라크는 유엔에 대해 선거전문인력 추가 파견을 요청했으나 유엔측은 이라크 안보상황 개선이 보장돼야 한다며 여전히 난색을 표하고 있어 성사여부는불투명하다.
한편 미국은 이라크 총선에 앞서 총 8천600만달러(1천100억원)를 비정부기구(NGO)와 선거관리위원회에 지원했다고 밝혔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