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속으로]道, 인천경계자유구역 동행취재...부두 자동차 선적준비
경기도 남단의 항구도시 평택. 동북아 물류 허브를 꿈꾸는 평택은 군산과 닮은꼴이다. 두 도시 모두 경제자유구역 지정에 사활을 걸고 타당성과 경제성 등 지정 논리를 내세워 준비가 한창이다.
환황해권 물류 중심의 주도권을 놓고 ‘한판승부’가 예상되는 평택항과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돼 4년째 사업이 이뤄지고 있는 인천경제자유구역(IFEZ)을 둘러봤다.
전북도와 군산시의 현지 벤치마킹을 28일 동행 취재했다. 김완주 도지사가 현장을 직접 방문했다.
바닷길 한복판 위를 시원하게 내리뻗은 서해대교 양쪽에 자리한 평택항은 수도권과 산업단지를 배후로 한 천혜의 항만입지를 자랑한다. 인공 방파제도 필요없고, 평균 수심이 14m에 달해 5만톤급 선박이 쑥쑥 드나들 수 있는 곳이다. 한국토지공사에 준설토를 팔아 준설비용을 보전하고 있다는 것은 눈여겨볼 대목이다.
평균 수심 7m에, 토사가 쌓여 준설 작업에만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고 있는 군산과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평택해양수산청과 경기평택항만공사의 도움으로 둘러본 평택항은 활기로 넘쳤다. 야적장에는 수도권과 중부권에서 밀려오는 수출용 컨테이너들이 수북히 쌓여있었고, 컨테이너 부두 옆에는 공장에서 막 출고된 수출용 자동차 수 천대가 선적을 기다리고 있었다.
1986년 개항한 평택항은 개항 10년만에 부산신항, 광양항과 함께 3대 국책항만으로 지정됐고, 이후 국가의 전폭적인 지원 아래 눈부신 발전을 해왔다.
평택항에서 처리되는 물동량 규모는 전국 28개 항만 가운데 상위 5번째다. 지난해 컨테이너 처리량은 25만7000TEU로 전년도 22만8000TEU에 비해 13%나 늘었고, 자동차는 울산에 이어 두번째로 많은 72만7000대가 이곳에서 수출됐다.
개항 당시 25만명이던 인구가 20년이 지난 지난해 12월말 기준 40만명(39만6765명)에 육박했다.
여기에 해양수산부는 급증하는 평택항의 물동량에 대비해 현재 22개 선석을 2011년까지 58개로 늘리고, 2020년까지 82개로 확대하는 장기 계획까지 세워둔 상태다. 또한 미국기지 확장에 따른 정부 특별지원비 18조8000억원이 신도시와 산업철도 건설, 첨단단지 조성 등을 위해 평택에 집중 투입될 전망이다. 평택은 2020년 100만 도시를 꿈꾸고 있다. 올해로 개항 108년째를 맞은 군산이 뚜렷한 복안을 찾지 못해 인구 감소에 허덕이는 것과 크게 다른 양상이다.
인천경제자유구역은 지난 2003년 부산·진해와 광양 등과 함께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된 후 현재 개발이 한창이다. 아직 사업 초기 단계지만, 나머지 2곳과는 차별화된 전략으로 일단 성공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총 6333만평에 사업비 14조3689억원을 들여 인천을 지식, 물류, 관광도시로 탈바꿈시키겠다는 야심찬 구상이다.
경제자유구역 지정으로 각종 개발사업이 탄력은 받게 됐지만, 여전히 관련 부처의 개별법들이 사업의 걸림돌로 작용하면서 이를 준비 중인 전북으로서도 대비책이 요구됐다. 전북도와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개발 컨셉의 중요성에 공감하고, 경제자유구역 지정에 따른 미비점에 대한 의견을 나누고 정부 개선을 요구하는데 상호 공조키로 약속했다.
김완주지사는 “물동량 확보를 위한 대중국 수출기업 유치와 물류기반 조성에 역점을 두어야 겠다”며 “평택·인천과의 우위 선점은 새만금신항만에 달려있다”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