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운동연합 삼천동 서식처 보호 사업추진
맹꽁이의 서식지 보호를 위한 민간차원의 사업이 올해 시작될 예정이어서 주목을 받고 있다. 그 중심에는 환경운동연합이 있다.
환경운동연합은 올해 맹꽁이의 서식지 보호 대책을 촉구하며, '맹꽁이놀이터 만들기'사업을 시작했다. 서식지 주변에 대한 생태조사를 진행한 뒤 맹꽁이의 생태특성을 반영한 습지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공원과 연계한 생태학습 공간으로 조성해 도심 습지의 기능과 가치를 알리는 생태학습 안내판을 설치할 예정이다. 이런 민간차원의 노력에 전주시도 적극적인 도움을 약속했다.
그러나 사업 추진을 앞둔 상황에서 맹꽁이의 산란지인 전주시 삼천동도서관 옆 습지가 말끔히 정리되고 말았다. 웅덩이가 있어 샛길로 통행하는 인근 주민들의 불편을 해소하고, 이 땅을 경제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석축을 쌓고 바닥을 평평하게 다진 것.
맹꽁이놀이터를 만들기 위한 노력이 첫발을 내딛는 순간 어려운 숙제를 만난 셈이다. 현행법상 사유지는 맹꽁이가 발견됐다고 해도 토지이용을 제약할 수 없도록 돼 있다.
웅덩이를 매운 토지주는 "이곳이 맹꽁이 서식처와 연관됐다는 것을 공식적으로 통보받지 못했고, 인근 주민들이 불편해 하는 것 같아 웅덩이를 메우게 됐다"며 아쉬움을 표했다.
그리고 토지주는 늦었지만 환경운동연합이 추진하려는 맹꽁이놀이터 만들기 사업이 잘 진행될 수 있도록 토지이용 때 최대한 주의를 기울이겠다고 약속했다.
환경운동연합 관계자는 "사유지가 아닌 곳에 대체습지를 조성할 수도 있지만 행동반경이 좁고 산란 장소를 다시 찾는 맹꽁이의 특성상 현재의 위치에 습지가 복원되는 것이 가장 좋을 것이라는 판단에 이 곳에 습지 복원작업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