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올들어 1곳만 신청…분양가 손해 등 이유 기피
도내 주택업체들이 미분양 아파트 해소차원에서 실시되고 있는 정부의 '미분양 매입 임대사업'에 여전히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전북도와 주공 등에 따르면 올들어 도내 미분양 아파트는 갈수록 늘어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날 현재까지 주공의 미분양 아파트 매입사업에 신청된 건수는 단 한건에 불과한 실정이다.
고창지역에서 시공중인 A건설이 최근 56세대 전체를 주공측에 아파트 매입을 신청했다.
이는 전국적으로 매입 신청접수된 미분양 아파트가 총 8600세대에 이르는 것에 비하면 매우 적은 수치이다. 매입신청된 미분양 아파트 가운데 2000여 세대는 매입이 최종 결정됐다.
주공 관계자는 "올들어 전국 각 지역에서 골고루 미분양 아파트 매입신청이 이뤄졌는데, 지역별로 볼때 전북지역은 거의 없을 정도로 신청건수가 유달리 적다"고 말했다.
8월말 기준 도내 미분양 아파트는 총 3863세대에 달한다.
이처럼 도내 주택업체의 매입신청 건수가 적은 것은 업체들의 브랜드 가치 하락과 정부의 낮은 매입가 및 기존 입주민들의 반발 등을 우려해 신청을 꺼리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A주택건설 관계자는 "업체 입장에서는 신청자체가 업체의 브랜드에 적잖은 손상을 입게 되는 것은 물론 당초 분양가 보다 낮은 가격에 공급되는 임대분양에 대한 기존 계약자들의 반발 등을 결코 무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또한 이 관계자는 "정부의 매입가격이 분양가의 70% 수준으로 30%의 손해를 감수해야 되는데, 현실적으로 분양가를 20%만 낮춰도 분양이 이뤄지는데 굳이 손해를 보면서까지 신청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지방 미분양아파트 해소를 위해 지난해부터 이 사업을 실시하고 있으며, 지난달에는 최초 분양가의 70~75%선에서 정부가 매입한 후 사업 시행자가 원할 경우에는 일정 수준의 가격으로 환매받을 수 있도록 하는 환매조건부 미분양 아파트 매입사업을 발표했다.
한편 주공 전북본부는 다음달께 도내 첫번째 '미분양 매입 임대사업'인 진안지역의 100세대를 국민임대 아파트로 분양할 예정이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