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위 시청자불만 현황..전체 불만의 43%
시청자들은 케이블TV나 위성방송 등 유료방송의 요금과 위약금에 대해 가장 불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4일 방송통신위원회가 발표한 시청자불만 현황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9월까지 케이블TV와 위성방송 등 유료방송의 요금, 위약금 등과 관련한 시청자 불만은 전체 불만 2천960건 중 약 43%에 해당하는 1천266건인 것으로 집계됐다.
아파트를 비롯한 공동주택의 단체계약을 개별계약으로 전환토록 유도하는 방식으로 요금을 편법 인상한 케이블TV방송사업자(SO)들에 대한 불만이 전체 불만 2천960건 중 647건(21.8%)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유료방송 계약해지 과정에서 비롯된 위약금 관련 불만이 619건(20.9%)을 차지했으며, 특정 인기 채널을 은근슬쩍 고가 채널상품에 끼워넣는 채널편성ㆍ변경 관련 불만은 259건(8.8%), 해지 곤란 불만은 246건(8.3%)으로 뒤를 이었다.
특히 일부 케이블TV사업자들이 지상파방송의 디지털 전환 정책에 편승, 국가 시책에 따라 디지털케이블TV 상품에 가입하지 않으면 마치 TV시청이 불가능한 것처럼 허위ㆍ과장 영업행위를 하는 것에 대한 불만이 41건(1.4%)에 이르는 사실이 새롭게 드러났다.
매체별로는 위성방송이 1천230건(42%)으로 가장 많았고, SO 1천175건(40%), 지상파방송 263건(9%),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 11건의 순이었다.
접수방법별로는 국민권익위원회가 운영하는 인터넷을 통한 정부 민원 통합 처리창구인 국민신문고를 통해 접수된 민원이 1천543건(52.1%)으로 가장 많았고, 전화(1천143건, 38.6%), 인터넷(243건, 8.2%), 우편(18건, 0.6%) 등의 차례였다.
방통위는 올해 들어 3분기까지의 시청자불만이 작년 동기의 5천22건보다 41% 감소했는데, 이는 방송프로그램 내용심의 업무가 방송통신심의위원회로 이관됨에 따라 지상파 방송과 PP에 대한 민원이 대폭 감소한 데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