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크아웃 대상 12~16개 불과금감원 "구조조정 대상 늘려라"
채권은행들이 건설사와 중소 조선사에 대한 신용위험을 평가한 결과 퇴출 대상인 D등급은 없는 것으로 잠정 확인됐다.
또 구조조정(워크아웃) 대상인 C등급을 받은 곳도 건설사 10~13개사, 조선사 2~3개사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됐다.
구조조정이 흐지부지되자 금융당국은 은행에 기준을 보수적으로 적용해 워크아웃과 퇴출 대상 기업 수를 늘리라고 압박하는 한편 A, B등급으로 분류된 기업이 부도나면 해당 은행에 책임을 묻겠다고 경고했다.
은행들이 일부 기업의 등급 재조정 작업에 착수함에 따라 구조조정 대상 건설사와 조선사 수는 각각 최대 2~3개 정도 추가될 것으로 보인다.
퇴출 기업은 최종적으로 1∼2개에 불과할 전망이다.
16일 금융감독 당국과 채권단 등에 따르면 주채권은행들은 92개 건설사와 19개조선사 등 111개 업체에 대해 신용위험 평가를 잠정 마무리한 결과 C등급 이하를 받은 건설사와 조선사 수는 12~16개 수준으로 파악됐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기업이 D등급을 받아 퇴출 절차를 밟게 되면 은행 입장에서도 부실여신 증가 등으로 부담스럽기 때문에 D등급 평가를 내리기는 사실상 어렵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은행들이 워낙 보수적이고 추후 책임논란에 휘말릴 수도 있기 때문에 C등급 이하로 평가한 건설사는 10여개 안팎, 조선사는 2~3개에 불과하다"고 언급했다.
그러나 주채권은행들은 이날 B와 C등급의 경계(69~70점)에 있는 업체들을 대상으로 평가 기준 중 '기타항목(5점)'을 다시 적용해 워크아웃 및 퇴출 대상 건설사와조선사는 약간 늘어날 전망이다.
금융감독당국 고위 관계자는 "여러 은행에 걸쳐 비교적 많은 자금을 지원받는기업은 B등급보다 C등급이 낫지 않느냐는 의견이 많았다"며 "은행들이 A(정상) 혹은B(일시적 유동성 부족)으로 구분한 건설사나 조선사가 6개월 이내에 부도를 내거나C등급(워크아웃)으로 떨어질 경우 고의 중과실 여부를 따져 필요하면 문책하겠다"고경고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금감원이 C등급을 추가로 늘리라고 주문해 마지막 진통이심하다"며 "다른 재무항목에 대해선 손을 대기 불가능하므로 탄력 적용이 가능한 기타항목에서 점수를 다시 산정해 일부 기업은 B등급에서 C등급으로 내려갈 수 있을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주채권은행들은 이날까지의 등급 분류 결과를 금융당국에 제출하고 이후 총 신용공여액의 25%를 초과하는 은행이 A~B등급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면 이견 조정을 거친 뒤 오는 23일까지 구조조정 대상을 확정한다.
최종적으로 부실징후기업(C등급) 판정을 받은 기업은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절차를, 부실기업(D등급)은 퇴출 절차를 각각 밟는다.
금융감독원은 1차 등급 평가 작업이 당초 예정보다 다소 늦어질 수 있으나 23일까지는 최종 워크아웃.퇴출 대상 기업을 확정할 방침이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