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1월 수출 사상최대폭 32.8% 감소

216억9천만弗..수입도 32.1%↓.무역적자 30억弗

1월 수출이 월별 수출입 동향을 집계한 이래 최대 감소폭을 보이고 무역수지가 30억 달러에 육박하는 적자를 내는 등 수출이 세계경제 동반침체의 직격탄을 맞았다.

 

2일 지식경제부가 내놓은 '1월 수출입동향' 자료에 따르면 1월 수출은 지난해 1월보다 32.8% 감소한 216억9천만 달러를 기록했다.

 

1월의 수출 감소폭은 월별 수출입 통계가 남아있는 1980년 이후 가장 큰 것으로,세계 경기의 급격한 동반침체로 인한 각국의 수입수요 위축 및 이에 따른 국내 업체들의 감산과 휴무, 설 연휴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수입 역시 246억6천만 달러로,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7월(-43.9%) 이후 가장큰 32.1%의 감소율을 보였고 이에 따라 100억 달러 이상 흑자를 목표로 했던 무역수지는 새해 첫 달부터 29억7천만 달러의 적자를 냈다.

 

주요 수출품목 가운데 선박만 20%의 증가율을 보였을 뿐, 자동차의 수출감소율이 55%에 달한 것을 비롯, 반도체(-47%), 자동차 부품(-51%) 수출이 반토막났고 이외에도 ▲석유화학 -40% ▲석유제품 -36% ▲철강 -19% ▲무선통신기기 -20% 등도 큰폭으로 위축됐다.

 

선박 역시 전월에 비해서는 48%나 줄어든 수준이었다.

 

지역별(1∼20일 기준)로는 최대 수출시장인 중국으로의 수출이 32.7% 격감했고미국(-21.5%),유럽연합(-46.9%), 일본(-29.3%), 아세안(-31.7%), 중남미(-36.0%)로의 수출이 모두 대폭 줄어들었다.

 

다만 대양주 지역 수출은 39% 늘었고 대(對)중동 수출은 감소율이 7.5%로, 상대적으로 양호한 편이었다.

 

수입은 원유와 석유제품이 단가 하락에 영향받아 각각 46%, 64%씩 수직 급락했으나 대신 가스와 석탄은 겨울철 수요 증가와 도입단가 상승 탓에 수입액이 각각 51%, 62%씩이나 늘어나 대규모 무역적자의 한 원인이 됐다.

 

다만 원자재 전체 수입액은 22.5%나 줄었고 자본재와 소비재 역시 각각 23.6%,21.6%의 높은 감소율을 기록했다.

 

지경부는 "우리나라 뿐 아니라 주요 수출경쟁국도 모두 큰 폭으로 수출이 줄어드는 등 글로벌 경기침체에 따라 교역규모가 급감하는 추세"라며 "실물경기 침체가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구분없이 심화되고 있어 당분간 수출 감소세는 지속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표> 1월 수출입 실적(잠정.통관기준)단위:백만 달러.%┌───────────┬────────┬───────────────┐│ 구 분 │ 2009년 │ 2008년 ││   ├────────┼───────┬───────┤│   │ 1월 │ 1월 │ 1~12월 │├────┬──────┼────────┼───────┼───────┤│ 수 출 │실적(증가율)│21,693 (△32.8) │32,275 (14.9) │422,007 (13.6)│├────┼──────┼────────┼───────┼───────┤│ 수 입 │실적(증가율)│24,662 (△32.1) │36,318 (31.8) │435,275 (22.0)│├────┼──────┼────────┼───────┼───────┤│무역수지│ 실적 │ △2,970 │ △4,043 │ △13,267 │└────┴──────┴────────┴───────┴───────┘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장수장수군, 2025년산 공공비축미 건조벼 매입 시작

고창가수 정삼·이청아, 고창군 귀농귀촌 홍보대사 위촉

자치·의회전북 하수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검출

고창심덕섭 고창군수, 김병기 원내대표·한병도 예결위원장 만나 지역 핵심사업 건의

정치일반정년 1년 늦추면 고령 정규직 5만명 은퇴 미뤄질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