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전시] "한지, 무대의상엔 안성맞춤"

내달 26일까지 '연극, 한지를 입다' 전시회 여는 전양배씨

디자인북 하나 달랑 들고, 무작정 전주시립극단을 찾았다. 손엔'이상한 나라의 엘리스' 의상 디자인이 들려 있었다.

 

그로부터 10년 뒤 연극판에 무대의상 디자이너라는 직함을 만들었고, 연극의상에 한지를 입히는 실험적인 무대를 마련했다.

 

맨 위부터 연극 '다시라기'의 한 장면과 '한지입은 광대', '멕베드'의 공연 모습. (desk@jjan.kr)

4월 26일까지 전주한지박물관에서 한지 연극의상 전시'연극, 한지를 입다'를 열고 있는 전양배 전주패션협회 부회장(42·사진)이다. '한지입은 광대(2005)''다시라기(2006)''맥베드(2007)' 무대에 올랐던 의상들을 전시장에서 만날 수 있다.

 

"한지는 무대의상에 아주 잘 맞는 소재에요. 빛을 고르게 먹었다가 품어낸다고 할까요. 조명과 만나 은은하고, 안온하게 담아냅니다. 한지사 자체가 올이 잘 안 풀리기 때문에 옷 만들기도 쉽구요."

 

전주시립극단 창작극인'한지입은 광대'는 그의 한지 연극의상을 선보인 첫 작품. 교육현장을 유머와 풍자로 풀어낸 무대에서 한지 의상은 배우가 더 살아나게 하는 마력을 뿜어냈다. 무대에 오르면 색감보다 재질감이 눈에 더 잘 띄기 때문에 자유자재로 구겨진 듯한 골이 조명과 만나면서 입체감이 돋보인다고 설명했다.

 

"한지옷은 '뻐셔서'과장되게 보이는 감도 있습니다. 배우도 커 보이게 하고, 동작도 과장되게 보이게 하죠. 풍자극 성격을 훌륭하게 소화할 수 있는 소재입니다."

 

'다시라기'는 우리나라 전통 장례문화를 해학적으로 꾸민 극이다. 그는 삼베로 만든 상복의 까슬까슬한 느낌과는 다르게 한지는 꼬깃꼬깃한 느낌으로 민초들의 투박한 삶을 살려낼 수 있었다고 말했다.

 

닥섬유를 조형해 겹쳐 만든 갑옷과 투구를 만든 '맥베드'는 한지 의상의 결정판. 갑옷을 만드는데 3주가 꼬박 걸렸다는 그는 한지의상으로 딱딱하지 않으면서도 갑옷의 묵직한 느낌을 살릴 수 있었던 것 같다고 말했다. 의상에 문양을 새겨넣는 일은 기성복보다 더 간편해 한 벌만 제작하는 연극의상엔 안성맞춤이라는 설명이 덧붙어졌다.

 

옷이 소리낸다는 점도 한지 의상의 특징. 옷이 씻기는 소리로 연극인들의 과장된 연기가 가능해진다고도 했다.

 

"관람객들이 전시장에 가면 '아, 이게 한지야?'라는 말을 제일 많이 할 겁니다. 한지의상에 관해 잘 모르더라도, 갑옷이 어떤 장면에서 등장하고, 상복이 어떤 질감으로 만들어진다는 걸 알기 때문에, 스토리가 있는 전시가 되지 않을까 싶어요. 갑옷의 경우 직접 입어볼 수 있도록 체험 코너도 마련했구요. 다만 모든 무대에 한지의상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진 않습니다. 한지의상이 무대에서 빛나는 조연, 감초로 비춰질 때가 가장 아름답습니다."

 

이화정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전북현대[CHAMP10N DAY] ⑥전북현대 가슴에 ‘왕별’ 반짝⋯우승 시상식 현장

익산익산경찰, 음주운전 집중단속

전북현대‘10번째 우승 대관식’ 전북현대, 전주성 극장으로 만들었다

전북현대[CHAMP10N DAY] ⑤함께 울고 웃었던 전북현대 팬들이 준비한 선물은?

익산익산 왕궁농협, 종합청사 신축공사 안전기원제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