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마트의 틈바구니에 끼어 '살아남기'에 급급한 동네 슈퍼마켓. 불경기를 맞아 '숨만 쉬고 있는' 가게들이 많다.
그러나 틈새시장을 노린 동네밀착형 전략으로 자기 영역을 꿋꿋하게 지켜가는 슈퍼들도 없지 않다.
주말인 8일 아파트와 단독주택이 밀집한 금암동의 한 슈퍼마켓 풍경을 엿봤다.
"아들한테 밭일 좀 거들라고 하니까 전날에는 '예'하더니 늦잠잤다네. 학비대느라고 6시부터 일하는데 가르쳐 봤자 헛것이여"
"우리 아들도 피아노 가르치고 대학까지 공부시켜 놓으니까 자기는 배운 게 없데. 폭폭하지"
동네슈퍼 한켠에서 오고가는 정겨운 대화. 물건을 파는 사람과 사는 사람 사이에 기계적 친철의 대명사인 '고객님'은 없다. 정겨운 이웃이 있을 뿐이다.
전주시 금암동에서 5년째 H슈퍼를 운영하고 있는 김혜숙씨(가명·49). 담배·과자·콩나물·수박 등 방 한칸 크기의 슈퍼 안에는 2000여개의 상품이 빼곡하게 진열돼 있다. 김씨가 슈퍼를 시작할 때쯤 길건너에 동네마트가 생겨 처음 3년 동안은 고전했다. 하지만 외상·소량판매·택배 받아주기 등 '동네 밀착형'마케팅으로 동네 사랑방이 됐다.
그는 "쌀·라면 등의 식품류에 한해 외상을 주고 야채·과일 등은 상급으로 구매한 뒤 소량씩 판매해 회전율을 높인다"면서 "차비를 빌려가는 사람도 있지만 외상의 절반은 기부라고 여겨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도매상과 거래할 때 반품률을 낮춰 소비자에게 표시가격에서 10% 가량 싸게 판매한다"면서 "대기업이 아닌 개인이 운영하는 점포 사이에서는 충분히 승산이 있다"고 덧붙였다.
전북도내에는 편의점을 포함한 소규모 소매점이 약 3000개로 추정되고 있다. 전주슈퍼마켓협동조합 관계자는 "대형마트와 떨어져 있으면서 깨끗한 쇼핑공간을 갖추고 소비자가 원하는 상품군을 마련한 슈퍼는 '동네밀착형'으로 살아남고 있다"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