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출량 서울대-포스텍-연세대-카이스트 순
'녹색성장'이란 구호가 무색하게 서울대를 비롯한 국내 주요 대학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급격히 느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소속 한나라당 박영아 의원은 18일 국내 70개 대학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해 이같이 밝혔다.
전력사용량을 기초로 이들 대학이 배출한 온실가스(이산화탄소)의 양을 추산한결과, 2005년 54만1천t에서 2008년 70만8천t으로 3년 만에 무려 30%나 증가했다는것이다.
같은 기간 국내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은 79억772만7천t에서 87억246만t으로 7%늘었다.
2005~2008년 4년간 가장 많은 온실가스를 배출한 대학은 31만2천950t을 내보낸서울대였고 포스텍(21만6천722t), 연세대(14만3천66t), 카이스트(13만4천959t) 등이뒤를 이었다.
국내 대학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급증하는 것과 대조적으로 상당수 미국 대학은구체적인 목표를 세워 체계적인 감축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고 박 의원은 지적했다.
미국 하버드대는 2006년을 기준으로 2016년까지 온실가스 30%를 감축한다는 방침에 따라 매년 3천t 이상 배출량을 줄이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비하면 국내 대학의 노력은 아직 '캠퍼스 녹지화' 수준을 넘지 못하고 있으나 하버드대처럼 30% 감축 목표를 세워 이행한다면 현재의 탄소배출권 가격 기준으로 약 47억588만원 상당의 경제적 이익을 낼 수 있다고 박 의원은 추산했다.
박 의원은 "전기사용량 자체가 많은 것보다 근본적인 감축 노력이 부족한 게 문제"라며 "대학들은 온실가스 감축에 앞장서 사회 전반에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알리는 사회적 책무를 다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