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살리기 사업서 소외·조기발주 영향…전년비 56% ↓
4대강 살리기 사업 등으로 국내 건설경기가 호황을 누리고 있는 반면, 도내 건설업계는 일감부족으로 수주난에 시달리고 있다. 전북의 경우 4대강 사업에서 사실상 소외된데다, 정부와 지자체의 조기발주 영향 등으로 하반기 공사 발주량이 급감했기 때문이다.
대한건설협회 전북도회가 13일 발표한 '9월중 건설공사 발주 및 수주현황'에 따르면 도내 9월중 발주량은 67건으로 지난해 같은기간 대비 56%나 감소하는 등 3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지난 7월에는 전년동월대비 발주량이 44% 감소했으며, 8월에는 37% 줄었다.
이처럼 도내 발주량이 감소한 것은 정부와 도내 지자체가 경기회복을 위해 조기발주을 적극 추진, 올해 발주량의 90% 가량이 상반기에 발주됐기 때문으로 보인다.
실제 올들어 9월까지 누적 발주량은 1160건으로 지난해 같은기간 대비 21% 증가, 하반기 공사물량의 상당수가 상반기에 발주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특히 영남권과 충청권, 광주·전남지역의 경우 지역건설업체 참여를 의무화한 4대강 살리기 사업으로 지역건설사들의 몸값이 올라가는 등 지역건설경기가 활성화되면서 수주난에 시달리는 도내 건설업계의 소외감이 더욱 커지고 있다. 업계 일각에서는 이같은 수주난이 내년 상반기까지 계속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이에따라 도내 중소 건설사들의 경영난 타개를 위해선 대규모 공사보다는 중소 규모 공사를 적극 발굴하는 한편, 내년 상반기에도 조기발주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도내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조기발주로 하반기 공사물량이 급감한데다, 새만금 방수제 등 대형공사들은 대형사들의 잔치여서 중소 건설사들의 수주난이 심화되고 있다"면서 "일감을 확보하지 못한 업체들은 경영난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