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원과 함께 구도심 살려내는게 관건
전라감영 복원에 있어 가장 큰 고민은 감영 복원 규모와 옛 도청사 건물 활용, 사업비 확보 문제다.
특히 감영 복원 규모는 전라감영 복원의 공간적 범위와 건물의 복원규모를 결정 짓는 것으로 전라감영의 의미를 어떻게 해석하는가에 따라 다양한 입장과 복원방식이 제기되고 있다.
중요한 것은 전라감영이 단순히 건물 복원에 국한되어서는 안되며 원형 복원이든 부분 복원이든, 감영터 완전 복원이든 축소 복원이든, 현재와 미래를 담아내는 도심재생의 전략이 도입돼야 한다는 것이다.
전라감영 복원은 매우 조심스러운 문제다. 문화재 복원이 자칫 잘못하면 개발 제한 문제로 주변 지역 주민들에게 피해를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 번 잘못 됐을 때 이를 바로잡기 위해서는 더 많은 시간과 노력, 비용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 전라감영 공간적 복원범위와 건물 규모
전라감영 복원에 있어 가장 큰 논쟁은 복원의 공간적 범위와 역사적 건물의 복원규모다.
역사적 건물 복원과 관련해서는 원형 복원과 상징적 부분 복원으로 나눌 수 있다. 원형 복원의 경우 대개 역사를 전공한 역사학자들을 중심으로 제기되고 있다.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목표로 전주문화가 한국문화를 대표할 수 있도록 최대한 원형을 살릴 수 있도록 복원하자는 것이다. 고고학적 발굴과 자료조사 등 철저한 고증을 통해 전라감영을 문화재적 가치를 가진 역사적 고건축물로 복원할 때 관광자원으로서도 완전한 가치를 지닐 수 있다는 주장이다.
부분 복원은 전라감영의 핵심시설을 상징적으로 복원하고 나머지 지역에는 문화시설을 배치해 주변과 연계하는 상업적 목표를 추구하자는 것이다. 대개 감영복원으로 인해 생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주변 상가 주민들의 입장이다. 이 경우 관찰사가 사무를 보던 선화당(宣化堂), 안채인 내아(內衙), 감영 입구인 포정루(布政樓) 등이 복원해야 할 감영 핵심시설로 거론되고 있지만, 선자청(扇子廳)이나 지소(紙所), 인출방(印出房) 등 전라감영의 특징적인 공간이자 전주의 정체성이 담긴 공간들은 살려야 하지 않겠냐는 의견도 만만치 않다.
복원의 공간적 범위와 관련한 논의는 전라감영터 완전 복원과 옛 도청사 부지 복원 정도로 나눠볼 수 있다. 그러나 전라감영터 완전 복원은 역사적 사실규명이 어렵고 엄청난 사업비가 필요, 실현 가능성이 낮다. 옛 도청사 부지 복원은 현재 부지를 확보한 상태라 재정부담이 최소화되고 단기간내 사업추진이 가능하다. 그러나 옛 도청사만을 복원 부지로 삼을 경우 주요시설의 규모있는 복원이 불가능해 역사성이 떨어질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 옛 도청사 건물의 활용
전라감영 복원과 관련, 옛 도청사 건물의 존치 여부도 중요한 논의 대상이다. 전라감영 복원을 위해 무작정 건물을 헐어버릴 수는 없기 때문. 특히 옛 도청사는 행정구역이 개편되고 감영이 해체된 이후에도 전라북도 행정의 중심지로서 역할을 해왔다는 점에서 전라감영의 맥을 잇고 있다. 건물 역시 근대문화유산으로서 가치가 있는 만큼 존치해야 한다는 의견이 힘을 얻으면서 옛 도청사 건물 활용에 대한 고민이 요구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치가 높은 건물을 등록문화재로 지정하는 등 도청사 건물과 의회 건물은 존치, 증축한 건물과 경찰청 건물을 철거하자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최근에는 근대문화유산이나 산업유산을 문화공간으로 활용하는 움직임이 전 세계적으로 일면서 옛 도청사 건물을 리모델링 후 도서관이나 미술관, 호텔 등으로 활용하자는 의견도 호응을 얻고 있다.
하지만 전라감영 복원을 최대한 원형에 가깝게 해야 한다는 입장에서는 전체건물을 철거, 전라감영 복원규모가 확대되기를 바라고 있다.
▲ 복원 사업비 확보
지난 10월 전주시가 '전라감영지 역사공간 조성사업비' 100억원과 '전주성 4대문 복원사업비' 28억원 등 총 128억원을 내년 예산으로 지원해 줄 것을 정부에 요청했지만,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
'전라감영지 역사공간 조성사업'에 따르면 전주시는 내년부터 오는 2021년까지 총 748억원을 투입하고, '4대문 복원사업'에도 내년부터 2020년까지 총 1800억원을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국비 확보 없이는 추진할 수 없는 대규모 사업인 만큼 시는 국비를 지원받을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하겠다는 입장이다.
국가 사적지로 지정될 경우 사업비 확보는 용이하지만, 전라감영 부지에서 객관적인 유구나 유물이 발견되지 않아 국가사적지 지정은 어려운 상황인 것으로 알려졌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