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곤룡포ㆍ적의 등 영친왕 일가 유물 공개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태자인 영친왕 일가의 유물이 공개됐다.

 

문화재청(청장 이건무)은 17일 오후 국립고궁박물관 회의실에서 영친왕 일가 복식 및 장신구류를 공개했다.

 

이 유물은 영친왕비가 일본에 거주할 때 소장하다 1957년부터 도쿄국립박물관에 보관됐고 1991년 한일 정상회담 합의로 환수돼 궁중유물전시관(현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관리하다 최근 유물 333점이 국가지정문화재인 중요민속자료 제265호로 지정됐다.

 

영친왕 일가가 1922년 순종황제를 알현할 때 입었던 복식류와 각종 장식물과 장신구들로 조선왕실의 복식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왕이 의례시에 착용한 곤룡포(袞龍袍), 익선관(翼善冠), 옥대(玉帶) 등과 평상복인 저고리, 바지, 두루마기, 마고자 등이 있으며 왕비의 대례복인 적의(翟衣), 중단(中單.적의 안에 입었던 두루마기), 금직 당의(錦職 唐衣.저고리 위에 입는 예복), 왕자의 자룡포(紫龍袍), 두루마기, 바지 등이 있다.

 

의장품(衣裝品.의복을 장식하는 물건)은 왕의 익선관과 탕건(宕巾), 망건(網巾), 행전(行纏), 목화(木靴)등과 왕비의 가체, 족두리, 옥대, 당혜(唐鞋.가죽신) 등이 있다. 왕자의 것으로는 옥대, 타래버선과 향낭(香囊.향을 담은 주머니) 등이 있다.

 

장신구류는 왕비의 것이 대부분인데 용잠(龍簪.비녀머리를 용의 형상으로 만든 비녀)과 봉잠(鳳簪.봉황의 형태로 만든 비녀), 각종 비취잠, 매화잠, 떨잠 등의 비녀류, 마노 등으로 만들어진 가락지 등이 있다.

 

이들 유물 가운데 곤룡포와 적의, 자룡포는 왕과 왕비, 왕자의 것으로는 유일한 것이며 한 가족의 것이어서 가치가 큰 것으로 평가된다.

 

국립고궁박물관은 내년에 특별전을 개최해 영친왕 일가의 유물을 일반에도 공개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1조 2000억 인공태양 유치 시동…전북 민·관·학 손잡고 대장정 돌입

사건·사고군산 태양광 시설서 불⋯인명피해 없어

사건·사고군산서 흉기 들고 거리 배회한 60대 검거

정치일반이틀째 밤샘수색에도 울산화력 실종자 2명 못찾아…수색 계속

자치·의회임승식 전북도의원, 노인 임플란트 지원근거 마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