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최동현의 명창이야기] (34)박록주②

최초의 여류창극 스타 '불꽃같은 삶'…여자 소리꾼들 모아 '여성국악동호회' 결성

1928년 봄 박록주는 조선극장에서 열린 8도 명창대회에 참가하여 공연을 했는데, 이 때 박록주는 세 사람을 만났다. 한 사람은 전 부통령 김성수의 부친 김경중이었고, 또 한 사람은 조선극장 지배인 신씨, 나머지 한 사람은 소설가 김유정이었다. 김경중은 다음해에 송만갑의 수제자인 김정문에게 소리를 배울 수 있도록 주선을 해주었다. 박록주가 김정문으로부터 배운 <흥보가> 가 바로 정통 동편제 <흥보가> 이다.

 

소설가 김유정은 박록주의 소리를 듣고 반하여 날마다 사랑을 고백하는 편지를 보냈다. 이 때 김유정은 아직 소설가로 이름을 얻기 전 대학생 신분이었다. 나이도 박록주가 많았다. 그러니 박록주에게 김유정은 철모르는 젊은이에 불과했을 수도 있다. 박록주는 김유정의 사랑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김유정은 박록주에 대한 사랑을 이루지 못하고 1937년에 폐결핵으로 죽었다.

 

김정문에게 <흥보가> 를 배우고 돌아온 박록주는 1931년 5월 조선극장 지배인이었던 신씨와의 애정문제와 복잡한 집안사정으로 수면제를 먹고 자살을 기도했다. 다행히 목숨을 건진 박록주는 건강을 회복한 후 두 번째 남편 우석 김종익을 만났다. 우석 김종익은 순천 사람으로 엄청난 부자였다. 1934년 우석은 국악 발전을 위해 서울 종로구 익선동에 있던 건물을 거금을 들여 사주었다. 이곳에 바로 일제강점기 국악운동의 산실이 된 조선성악연구회가 들어섰다.

 

조선성악연구회에는 당시 활동하던 우리나라 전통예술인들이 다 모였다. 이 단체가 결성된 후 우리 전통 국악은 최고의 융성기를 맞았다. 조선성악연구회의 업적 가운데서 제일 먼저 들어야 할 것은 창극의 완성이다. 창극은 1902년 고종 즉위 40주년을 기념하는 행사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졌다고 하지만, 그 때의 창극은 판소리를 몇 사람이 나누어 부르는 정도에 그쳤다. 지금 우리가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배경을 설치하고, 분장을 하고, 배역을 나누어 연기를 하는 창극은 정정렬과 김연수의 주도하에 조선성악연구회에서 만들어졌다. 물론 이 때의 창극은 상업적으로도 크게 성공했다. 지금까지도 우리나라의 창극은 조선성악연구회에서 만든 창극을 원형으로 삼는다. 박록주는 여기서 <춘향전> 의 춘향이, <심청전> 의 심청 역할을 맡아 크게 활동하였다. 그러니까 박록주는 최초의 여류 창극 스타였다고 할 수 있다.

 

해방 후에 박록주는 우리나라 판소리를 대표하는 여자 소리꾼으로 군림했다. 1948년에는 여자 소리꾼들을 모아 여성국악동호회를 결성하여 한 때 크게 성공하기도 했다. 그러나 그 시절은 짧았다. 판소리는 6·25를 겪는 동안에 처참하게 무너져 내렸다. 박록주는 생활고에 시달렸다. 저축하는 성품이 아니었던 박록주는 모아놓은 재산도 없었다. 1952년에는 한 쪽 눈을 실명하기까지 했다. 눈병 때문이라고도 하고, 아편 때문이라고도 한다. <국극사> 라는 단체를 만들어 활동했으나 극심한 어려움 끝에 1960년에 완전히 망하고 말았다.

 

<국극사> 라는 단체가 망할 무렵 박록주는 폐병에 걸려 어려운 처지에 빠졌다. 이 때 김여란이 도움을 주었고, 나중에는 박귀희가 거처를 마련해 주어 생활을 영위할 수 있었다고 한다. 박록주는 박귀희에게 <흥보가> 를 가르쳤다. 후에 김소희도 박록주에게 <흥보가> 를 배워 완창을 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조상현을 양아들로 삼아 판소리를 가르치기도 했다.

 

1965년 박록주는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그러나 박록주의 생활은 궁핍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 그런 중에도 1971년에는 정통 판소리를 보존하기 위해 판소리보존연구회를 만들어서 이사장을 맡았고, 제1회 판소리 유파발표회를 열기도 했다. 그러나 셋방을 전전하다가 박록주는 1971년 면목동의 단칸방에서 세상을 떠났다.

 

부친에 의해 팔려 소리꾼이 된 경상도 여인, 판소리에서의 성공과 자살 기도, 소설가 김유정의 사랑, 한 쪽 눈의 실명, 무형문화재로 이어진 박록주의 일생은 그야말로 파란만장한 것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박록주의 소리는 꿋꿋하고 씩씩한 전형적인 동편제 스타일로 유명하다. 인생살이의 그 어떤 시련도 그의 예술 정신을 훼손하지는 못했던 것이다. 박록주의 불굴의 예술혼은 아직도 많은 제자들을 통해 계속 이어지고 있다.

 

/최동현(군산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전북일보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자치·의회“단체장 도전”…전북도청 간부공직자들도 ‘선거 러시’

자치·의회전용태 전북도의원, 공공의료 안정운영 위한 진안의료원 재정지원 법제화 촉구

사건·사고금은방서 금팔찌 훔쳐 달아난 20대 2명 검거

정치일반플랜B도 멈춘 450억 '새만금 청소년센터'...‘치유·힐링캠프’로 활용 필요

정치일반“결혼, 자연 속에서 공공과 함께”…전북도, 새로운 결혼문화 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