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10곳 중 6곳 이상이 채용공고를 내고도 사람을 뽑지 못한 적이 있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또 중소기업이 직원을 채용하려면 평균 한 달 넘게 걸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승현 한국고용정보원 연구위원은 16일 '취업률 효과 제고를 위한 고용서비스인프라 구축전략' 심포지엄에서 주제발표를 통해 1천123개 중소기업 인사담당자에게 물어보니 중소기업의 절반(50.1%)은 1년에 6회 이상 수시로 직원을 선발하고 있으며, 평균 구인 채용 소요기간은 약 33일이라는 응답이 나왔다고 전했다.
특히 설문 대상 기업의 65.4%는 취업포털 등에 채용공고를 내고도 직원을 채용하지 못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원하는 인재를 뽑지 못했다는 기업의 89.1%는 '적합한 인재를 찾지 못해서'라는답을 채용 실패의 가장 큰 이유로 꼽았다.
구인 방법으로는 '취업포털 등 인터넷 취업정보망 공고'가 63.9%로 가장 많았고 '지인 소개'(25.2%) '지면공고'(5.8%) 등의 순이었다.
지 위원은 "고용지원센터와 워크넷에 기업의 채용정보가 더 많아져야 한다"며 "인터넷에 흩어져 있는 일자리 정보를 자동으로 수집하는 '잡로봇' 등과 같이 국가차원의 일자리정보 통합관리 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김형래 연구위원도 "일-훈련-자격 정보가 연계돼 제공된다면 공공 고용서비스를 통한 취업률은 더욱 높아지는 만큼 국가 취업포털 워크넷에서 일-훈련-자격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