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5일 채권 은행단의 기업 신용평가 결과가 알려지면서, 부실업체에 대한 강도 높은 구조조정이 예고된 가운데 도내에 기반을 둔 건설사도 2개사가 포함된 것으로 전해져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부실의 원인으로는 미분양 아파트 증가를 꼽고 있다. 공급자 위주의 주택분양이 수요자들로부터 외면 받으면서 누적된 부채가 감당할 수준을 넘어선 것이다.
앞으로 계획사업은 물론 기존사업에도 차질이 예상되며, 더욱이 관련 협력업체로까지 부실의 여진이 이어진다면 피해규모가 더 커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여러모로 뒤숭숭한 분위기이다.
이번 부실 건설사 문제는 상가시장에서도 타산지석으로 다루어야 할 일이다.
아파트는 건설사가 부도가 나더라도 주택법에 의한 '보증이행제도'가 있어 납부금의 회수나 공사를 재개하도록 하는 최소한의 보장책이 있는데 반해, 상가는 연면적 3000㎡ 미만인 경우 이러한 보장책이 없어 분양사가 부도나면 피해는 고스란히 기 분양자의 몫으로 남게 된다.
최근 도내에서는 연면적 3000㎡를 넘지 않는 중소형 상가 신축이 눈에 띄게 늘고 있고, 분양에서도 준공전 선 분양 방식인 경우가 많아 투자자의 주의가 필요하다.
선분양 상가를 고려한다면 업체의 재무 건전성도 세심히 살펴야할 것이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