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몸에 좋은 '비타민D 보충제' 적당량은?

비타민D 보충제는 하루 권장용량을 초과해 먹어도 더 이상의 효과는 기대할 수 없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 임승길·황세나 교수팀과 동국대 일산병원 내분비내과 최한석 교수는 비타민D 보충제의 하루 섭취 권장량으로 600~800 IU(international unit.비타민량 효과 측정용 국제단위)가 적당한 것으로 분석됐다고 8일 밝혔다.

 

비타민D는 우리 몸에서 만들어지지 않는 영양소로 음식으로 섭취하거나, 햇볕을 통해 체내 합성할 수 있다.

 

하지만, 한국인의 경우 편식과 햇볕 기피현상 등으로 제대로 체내에 보충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타민D가 부족하면 구루병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며 경련, 근력 저하, 호흡기 감염 증가, 심장 근육병증 등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특히 어린이는 성장판에 이상이 생기고 뼈가 약해져 성장속도가 늦어질 수 있다.

 

문제는 비타민D의 섭취 용량인데 일부 전문가들은 환자 치료를 위해 하루 4천IU까지 보충해도 특별한 부작용이 없다는 주장을 내놓고 있다.

 

보통 100 IU를 섭취할때 혈중 비타민D의 농도는 1이 올라간다.

 

반면 임 교수팀은 무분별한 섭취도 심각한 부작용을 유발한다는 입장이다.

 

중독증상으로 구토, 설사, 경련, 요로결석 등이 생길 수 있는데 특히 신부전 환자는 비타민D 섭취에 주의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임승길 교수팀은 이런 근거로 2008~2009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1만730명을 대상으로 혈중 비타민D 농도에 따른 뼈와 골격계, 동반질환과의 연관성을 연구한 결과를 제시했다.

 

연구결과 성인 남성의 혈중 비타민D 농도는 평균 21ng/㎖ 이하로 조사됐으며, 여성의 경우 이보다 낮은 18ng/㎖로 집계됐다.

 

또 6.4%인 약 686명이 비타민D 결핍증이었으며, 60.47%가 비타민D 부족 상태로 진단됐다.

 

전체적으로 보면 93%가 '비타민D 불충분'에 해당됐다.

 

임 교수팀은 10ng/㎖ 이하를 A그룹, 10~20ng/㎖를 B그룹, 20~30ng/㎖를 C그룹, 30ng/㎖ 이상을 D그룹으로 나눠 혈중 비타민D와의 연관성을 연구한 결과 A, B그룹에서의 골밀도 수치가 C, D그룹보다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비타민D 농도가 30ng/㎖ 이상이었던 D그룹은 C그룹과 비교할 때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 인슐린 저항성도 A, B그룹에서만 관찰됐다.

 

인슐린 저항성이 높으면 너무 많은 인슐린이 분비돼 고혈압이나 고지혈증에서부터 심장병, 당뇨병이 생길 수 있다.

 

특히 A, B그룹의 경우 결핵 유병률도 높았다.

 

임승길 교수는 "비타민D 부족증은 보충제가 필수적이지만 무분별한 과잉섭취 는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점을 입증했다"면서 "혈중 비타민D 농도(ng/㎖)는 20 후반이나 30 초반이 적정수준으로 시중 비타민 제제로 치면 1~2알 정도가 적당하다"고설명했다.

 

그는 이어 "비타민D가 포함된 낙농제품 등의 음식을 많이 섭취하고 하루 15~20분 정도 햇볕을 쬐면 도움이 된다"면서 "만약 고도비만이나 임신, 수유 중이라면 일반인보다 더 많은 비타민D 제재를 복용해도 괜찮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장수장수군, 2025년산 공공비축미 건조벼 매입 시작

고창가수 정삼·이청아, 고창군 귀농귀촌 홍보대사 위촉

자치·의회전북 하수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검출

고창심덕섭 고창군수, 김병기 원내대표·한병도 예결위원장 만나 지역 핵심사업 건의

정치일반정년 1년 늦추면 고령 정규직 5만명 은퇴 미뤄질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