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말기암 10년 생존율 17%…포기해선 안돼"

말기암(4기) 환자 100명 중 17명이 10년 이상 생존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 같은 분석은 단일 병원의 통계치이지만, 말기암 상태라고 해도 적극적으로 치료하면 완치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연세암센터는 2000년에 암 진단을 받은 4천600여명의 병기별 10년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 0기 96.4%, 1기 82.8%, 2기 70.2%, 3기 45.4%, 4기 17.1% 등으로 조기발견이 무엇보다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7일 밝혔다.

 

조사결과를 보면 전체 암 환자의 10년 생존율은 51.1%로, 절반 정도가 10년 이상 장기 생존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10년 생존율은 63.7%, 남자는 40.4%였다.

 

여성의 생존율이 높은 이유는 비교적 조기에 진단되고 치료가 잘되는 유방암, 자궁경부암, 갑상선암이 많기 때문인 것으로 병원 측은 분석했다.

 

질환별로는 유방암 환자의 80%, 부인암 환자의 76%가 각각 10년 넘게 생존했다.

 

반면 남성은 진단이 어려운 폐암, 예후가 좋지 않은 간암과 전립선암이 많았던게 낮은 생존율의 원인으로 지목됐다.

 

또 평균 수명이 늘어남에 따라 70~80대 고령층 암환자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995년에는 암 진단 평균 연령이 52.4세였지만, 2010년에는 54.6세로 늘었다.

 

특히 남성(54.5→ 58.3세)은 여성(50.0→51.1세)보다 상대적으로 증가 폭이 컸다.

 

남성은 60대에서 암이 가장 많이 발생한 반면 여성은 50대가 가장 많았고, 전체암 환자의 15%는 70~80대에 암이 발생했다.

 

이는 병기가 진행된 암이 노년층에서 늦게 발견되는 게 아니라 평균수명의 증가로 암 발생 연령이 높아졌기 때문으로 의료진은 분석했다.

 

정현철 연세암센터 원장은 "고령층의 암이라도 조기 발견하면 적극적인 치료가 가능한 만큼 정기적인 검진과 가족의 관심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밖에 이번 조사에서는 10년 이상 생존한 암환자 중 2개 이상의 암이 있는 '다중암 환자'가 5.2%로 집계됐으며, 암환자 중 5.1%는 암이 아닌 다른 질환으로 사망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세암센터는 조사결과 발표와 함께 암 진단 후 10년이 지난 환자들의 모임인 '연세 새누리 클럽, 꽃보다 아름다운 사람들'을 결성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장수장수군, 2025년산 공공비축미 건조벼 매입 시작

고창가수 정삼·이청아, 고창군 귀농귀촌 홍보대사 위촉

자치·의회전북 하수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검출

고창심덕섭 고창군수, 김병기 원내대표·한병도 예결위원장 만나 지역 핵심사업 건의

정치일반정년 1년 늦추면 고령 정규직 5만명 은퇴 미뤄질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