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말기암 10년 생존율 17%…포기해선 안돼"

말기암(4기) 환자 100명 중 17명이 10년 이상 생존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 같은 분석은 단일 병원의 통계치이지만, 말기암 상태라고 해도 적극적으로 치료하면 완치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연세암센터는 2000년에 암 진단을 받은 4천600여명의 병기별 10년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 0기 96.4%, 1기 82.8%, 2기 70.2%, 3기 45.4%, 4기 17.1% 등으로 조기발견이 무엇보다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7일 밝혔다.

 

조사결과를 보면 전체 암 환자의 10년 생존율은 51.1%로, 절반 정도가 10년 이상 장기 생존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10년 생존율은 63.7%, 남자는 40.4%였다.

 

여성의 생존율이 높은 이유는 비교적 조기에 진단되고 치료가 잘되는 유방암, 자궁경부암, 갑상선암이 많기 때문인 것으로 병원 측은 분석했다.

 

질환별로는 유방암 환자의 80%, 부인암 환자의 76%가 각각 10년 넘게 생존했다.

 

반면 남성은 진단이 어려운 폐암, 예후가 좋지 않은 간암과 전립선암이 많았던게 낮은 생존율의 원인으로 지목됐다.

 

또 평균 수명이 늘어남에 따라 70~80대 고령층 암환자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995년에는 암 진단 평균 연령이 52.4세였지만, 2010년에는 54.6세로 늘었다.

 

특히 남성(54.5→ 58.3세)은 여성(50.0→51.1세)보다 상대적으로 증가 폭이 컸다.

 

남성은 60대에서 암이 가장 많이 발생한 반면 여성은 50대가 가장 많았고, 전체암 환자의 15%는 70~80대에 암이 발생했다.

 

이는 병기가 진행된 암이 노년층에서 늦게 발견되는 게 아니라 평균수명의 증가로 암 발생 연령이 높아졌기 때문으로 의료진은 분석했다.

 

정현철 연세암센터 원장은 "고령층의 암이라도 조기 발견하면 적극적인 치료가 가능한 만큼 정기적인 검진과 가족의 관심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밖에 이번 조사에서는 10년 이상 생존한 암환자 중 2개 이상의 암이 있는 '다중암 환자'가 5.2%로 집계됐으며, 암환자 중 5.1%는 암이 아닌 다른 질환으로 사망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세암센터는 조사결과 발표와 함께 암 진단 후 10년이 지난 환자들의 모임인 '연세 새누리 클럽, 꽃보다 아름다운 사람들'을 결성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오피니언피지컬AI와 에너지 대전환과 협업이 우리의 미래다

경제일반[주간증시전망] 기존 주도주 비중 확대나 소외 업종 저가 매수가 바람직

군산한국건설기계연구원, 미래 건설기계 혁신·신산업 육성 앞장

오피니언[사설]미래 핵심 에너지기술 ‘인공태양’ 철저한 준비를

오피니언[사설] 위기의 농촌학교 활력 찾기, ‘자율중’ 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