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적으로 지난해 전통예술경연대회에 대통령상이 수여된 것은 모두 31곳. 올 상반기중 대통령상을 주는 대회는 14곳으로, 하반기 대회까지 합치면 지난해와 비슷한 규모로 지원될 것으로 보인다.
최고 기량자에게 대통령상을 주는 전북의 전통예술경연대회는 전주대사습놀이전국대회, 춘향국악대전, 전국고수대회. 춘향국악대전으로, 모두 오래된 역사를 자랑하지만 대회 위상은 전주대사습이 단연 앞선다. 우리나라에서 내로라하는 명창 중 전주대사습 장원이 아닌 경우는 드물었다.
올해로 39회를 맞는 춘향국악대전은 (사)한국국악협회 남원지부(지부장 이상호)가 주관해 춘향제 기간에 열린다. 전체 예산은 총 1억(시비 8000만원·자체 부담금 2000만원). 초반 춘향국악대전은 춘향제와 함께 열려 인지도를 높이는 데 일조했으나, 지자체 의존도를 낮추는 데 어려움을 보이면서 성장 동력을 마련하는 데 한계를 보이고 있다. 대다수 남원 출신 국악인들로 구성된 남원국악협회는 심사위원을 구성할 때 이들의 이해관계에 좌우될 수밖에 없는 태생적 한계가 있다. 판소리 명창부 장원 상금은 1500만원.
(사)한국국악협회 전북지부(회장 김학곤)와 KBS 전주방송총국(총국장 김영선)이 주관하는 전국고수대회는 전국에서 유일하게 대통령상을 준다. 전북국악협회는 "2년 연속 대회 물의를 일으킨 사람은 심사에서 배제하고 지역을 안배해서 뽑는다"고 밝혔으나, 종종 '장원 낙점설'이 불거지는 등 고수대회 위상이 훼손되는 것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있다. 올해 32회를 맞는 고수대회 대명고수부 장원 상금은 1000만원이다.
반면 광주에서 열리는 임방울국악제는 앞선 전통예술경연대회 보다 역사는 짧으나 청중들에게 호응을 받는 대회로 거듭나고 있다. 임방울진흥회가 소리꾼들의 영향력을 제한, 심사의 공정성을 확보하면서 국악제 내실을 기한 결과다. 언론인·경제인·공무원 등으로 구성된 임방울진흥회는 국악인이 아닌 이사장·부이사장·시청 담당자가 분야별 명단을 구성한 뒤 무작위 추첨을 통해 심사위원을 선정하는 방식. 20회를 맞는 임방울국악제 역시 대통령상 수상자에게는 상금 1500만원과 임방울상 금트로피가 수여된다.
전체 예산은 3억5000여 만원. 여기엔 SBS가 국악제 본선 생중계를, 조선일보가 대회를 홍보를 맡게 되면서 추가되는 부대비는 빠져 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