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진석 한국외대 교수 분석
민족의 암흑기였던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당국으로부터 가장 많이 허가받은 출판물은 족보라는 분석이 나왔다.
언론학자인 정진석 한국외대 명예교수는 근대서지학회가 펴내는 반년간 잡지 '근대서지' 최신호(6호)에 기고한 글 '일제강점기의 출판환경과 법적 규제'에서 1920-1930년대 조선총독부의 출판 통계를 토대로 일제강점기 출판 환경을 조명했다.
1920년대와 1930년대 가장 많이 허가된 출판물은 족보였다. 1920년대 출판 허가를 받은 출판물 1만 807건 가운데 족보는 1358건으로 12.6%를 차지했다.
스승이나 조상의 글을 후손에게 전하기 위해 펴내는 유고(遺稿)와 문집도 당국의 허가를 받아 대거 출간됐다. 1920년대 출판이 허가된 족보, 유고, 문집은 모두 2613건으로 전체 출판 허가 건수의 24%에 이르렀다.
신소설(959건)과 구소설(529건)을 합친 소설의 출판 허가 건수는 1920년대 1488건으로 전체 출판 허가 건수의 14% 정도를 차지했다.
그러나 1930년대가 되면서 소설의 출판 허가 건수(1492건)가 전체 출판 허가 건수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7%로 떨어진 것으로 분석됐다. 연합뉴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