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검거 위해 택시·버스기사에 발송해도 대부분 신경 안써…도주범 태우고도 몰라
피의자 도주 등 수배사건이 발생했을 때 경찰이 피의자의 조기검거를 위해 택시나 버스기사 등에게 발송하는 SMS(문자 메시지 전송 서비스)가 제구실을 못하고 있다.
SMS는 피의자들이 도주의 수단으로 이용할 가능성이 높은 택시나 버스기사 등에게 수배사실을 알려 신속한 신고를 위해 도입돼 시행되고 있지만, 문자를 받지 못하는 기사들이 많고, SMS를 받더라도 기사들이 신경을 쓰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 20일 남원지청에서 도주한 이대우(46)는 택시 2대를 이용해 남원에서 정읍을 거쳐 광주광역시로 잠입했다. 그러나 이대우를 태웠던 택시기사 2명 중 1명에게는 경찰이 발송한 SMS가 전송되지 않았다.
이대우를 정읍까지 태워다 준 택시기사는 SMS를 전송받지 못해 이대우가 정읍에서 내린지 1시간30분이 지나서야 경찰에 신고했다. 또 이대우를 광주역까지 태웠던 택시기사는 도주 당일 오후 4시 30분께 및 오후 7시께 2차례에 걸쳐 SMS를 받았지만 대수롭지 않게 생각, 경찰이 택시기사를 찾아 조사하기 전까지 이대우를 태운 사실 조차 몰랐던 것으로 알려졌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택시·버스기사 등의 휴대전화번호 관리에 대한 보완과 기사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전북청 한 관계자는 "올 1월 강지선 도주 사건 이후 각 경찰서에서 분기별로 택시·버스기사의 휴대전화번호를 업데이트하고 있지만, 일부 택시기사들은 SMS를 받더라도 신경을 쓰지 않는 경향이 있다"며 운영상의 문제점이 있음을 인정했다.
전북경찰은 피의자 도주 등 수배사건 발생 시 추가 범행 예방 및 조기검거를 위해 사전에 개인정보제공에 동의한 택시·버스기사와 자율방범대 등 경찰 협력단체 회원 등에게 SMS를 발송하고 있다. 경찰은 이들의 휴대전화번호는 분기별로 관리하고 있다.
27일 전북도와 전북지방경찰청 등에 따르면 전북지역에 등록된 택시기사는 9530명이며, 시내·외·농어촌버스기사는 2600여명이다. 또 경찰에 등록된 협력단체 중 자율방범대는 8600여명이고, 시민경찰은 1400여명으로, 총 2만2000여명에 달한다.
그러나 현재 전북경찰이 휴대전화번호를 관리하는 택시·버스기사, 협력단체 회원 등은 모두 1만1000여명에 불과하다.
특히 경찰내부에서도 택시의 경우 직업특성상 이직률이 높기 때문에 분기별 관리는 현실에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경찰의 한 관계자는 "범죄 예방 등 목적으로 SMS 발송을 위한 개인정보제공에 대해 택시·버스기사와 협력단체 회원 대부분이 동의하고 있다"면서 "협력단체 회원들은 각 경찰서에서 관리가 가능하지만 택시의 경우 이직률이 높아 분기별 관리는 실효성이 떨어진다"고 말했다.
또 다른 경찰관은 "택시나 버스회사와 협의해 이직한 기사는 삭제하고 신규기사는 등록하는 등 최소 1개월에 1차례씩 관리해야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