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절대 반대" vs 충남 "유통해야"
(군산·서천=연합뉴스) 김동철 기자 = 금강하굿둑 해수(海水) 유통을 놓고 전북과 충남의 갈등이 깊어지고 있다.
충남도와 서천군의 '해수 유통 외에는 금강호 수질개선 대책이 없다'는 주장에 대해 군산 등 전북도는 '수질개선을 위해선 충남지역인 금강 상류 오염원을 줄이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반박하고 있다.
군산시는 4일 "농·공업용수 확보의 대안이 없는 해수 유통을 절대 허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시는 "충남과 서천의 주장은 납득할 수 없으며 하굿둑은 조성된 목적에 맞게 제 기능을 다하고 있다"면서 "수질 개선을 위해선 금강 유역 전체, 특히 중·상류 지역의 오염원 해소를 위한 충남지역의 공동 노력이 우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해수를 유통시킬 경우 농·공업용수 전면 중단으로 농업과 지역산업 활동에 막대한 지장을 가져올 뿐 아니라 양수장을 상류로 이전할 때 천문학적인 사회적 비용이 발생한다"면서 충남도와 서천군의 주장 철회를 촉구했다.
반면 충남도는 조속한 해수 유통이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충남 시장·군수 협의회는 지난달 말 결의문을 통해 ▲금강하구호 농업용수 확보를 전제로 한 부분 해수유통 방안 적극 검토 ▲난립한 국책시설로 황폐해진 하구역 생태계 조사·연구와 환경복원 대책 수립 ▲국무총리실 책임 아래 금강하구 관리체계 마련 ▲3대 강 하구에 대한 하구관리법 마련과 민·관·전문가 협의체 운영 등 4개 항을 요구했다.
나소열 서천군수는 "그동안 정부가 농·공업용수 확보와 비용문제를 들어 해수유통을 방관해 왔지만 이제는 대승적인 해결이 필요한 시기"라며 "용수 확보를 전제로 한 부분 해수 유통만이 금강하구의 유일한 생태계 복원방안"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따라서 충남 시장·군수협의회와 함께 금강하구에 대한 종합적인 복원계획이 마련될 때까지 강력히 투쟁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해수 유통 논란은 2009년 서천군에서 금강 살리기 사업으로 서천쪽 배수갑문 신설·어도문 확장·통선문 개량 등 금강하구 수질개선사업에 하굿둑 해수 유통을 포함해 건의하면서 촉발됐다.
서천군의 요청으로 국토부는 2010년 3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금강하구역 생태계 조사 및 관리체계 구축연구 용역을 실시, '서천군 갑문증설 및 해수유통은 타당성이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하지만 충남도는 수용 불가를 천명하며 반발하는 등 전북과 충남이 접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금강하굿둑은 전북 군산시 성산면과 충남 서천군 마서면 사이 길이 1.8㎞의 제방이다.
1990년 정부가 농·공업용수 공급과 홍수 조절, 염해 방지를 위해 1천10억원을 들여 설치했다. 연간 3억4천만t의 민물을 군산과 서천군 일대에 공급하고 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