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표준지 공시지가 신뢰성 의문

도내 실거래가 반영비율 4년간 6.1%P 하락 / 땅값은 상승세 이어져…지역간 편차도 커

전국의 토지값이 지난 2009년 이후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는 반면 주요 도시 토지의 공시지가에 대한 실거래가 반영비율은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시지가에 토지 실거래가 반영비율이 들쭉날쭉 낮게 책정되는 등 공시가격제도의 신뢰성에 의문이 일고 있다.

 

9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이노근 의원(새누리당·서울 노원갑)이 국토교통부로 부터 제출받은 '공시가격 지역별 실거래 반영률'에 따르면 전국 표준지 공시지가 실거래가 반영비율은 2009년 62.1%에서 2012년 59.9%로 떨어졌다.

 

이는 토지값이 2009년 0.587%에서 2012년 0.335%로 4년 연속 상승세를 보인 반면 표준지 공시지가는 오른 시세를 반영하지 못했다는 분석이다.

 

전북의 경우 표준지 공시지가 실거래가 반영비율이 2009년 71.3%, 2010년 64%, 2011년 62.4%, 2012년 65.2%로 4년간 6.1%P가 하락했다.

 

전국 16개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공시지가 실거래가 반영비율이 떨어진 도시는 22곳으로 나타났고 유일하게 경기, 강원, 충북, 제주만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표준 공시지가 시세 반영률도 지역 간 편차가 컸다. 2012년 기준 광주의 경우 73.6%를 기록한데 반해 울산의 경우 52.9%를 보였다.

 

이와는 별도로 전국 모든 토지의 올해 개별공시지가 지가총액은 총 3157만8711필지에 3879조 8062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북의 지가총액은 259만5937필지 72조 8404억원으로 조사됐다.

 

전북에서 개별공시지가가 가장 높은 곳은 전주 완산구 고사동 금강제화 부지로 3.3㎡(1평)당 685만원을 기록했고, 가장 낮은 곳은 남원시 주생면 내동리 산으로 3.3㎡당 124원을 기록했다.

 

이노근 의원은 "같은 가격대의 부동산이라면 현행 부동산 가격고시 체제에서 공동주택 보유자가 토지 보유자보다 더 세금을 많이 내는 등 불리하다는 의미"라며 "땅값이 오르는데 시세 반영률을 맞추지 못하는 것은 전형적 탁상행정으로 조세와 보상 형평성에 어긋난다"고 지적했다.

이강모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자치·의회전북자치도, 재생의료특구 지정 위한 특별법 개정 본격화

정치일반새만금산단 입주기업, RE100 실현 ‘첫발’…태양광 발전설비 준공

장수장수군, 2025년산 공공비축미 건조벼 매입 시작

고창가수 정삼·이청아, 고창군 귀농귀촌 홍보대사 위촉

자치·의회전북 하수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검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