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대변인 "특별히 말할게 없다"…국정공백 장기화 우려
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의 거취가 23일 결정될 것이란 정치권 안팎의 관측과는 달리 다소 지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그동안 청와대나 정치권 주변에서는 박근혜 대통령이 국회에 제출할 문 후보자에 대한 임명동의안과 인사청문요청안 재가를 중앙아시아 3개국 순방에서 돌아온 뒤 검토키로 함에 따라 늦어도 23일엔 결단이 이뤄질 것으로 관측됐으나 이날 특별한 결정은 이뤄지지 않은 상태다.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순방 뒤에) 임명동의안과 인사청문 요청서 재가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는 데서 변화된 게 없다”며 “(문 후보자와 관련해) 특별한 움직임으로 말할 게 없다”고 말했다. 모종의 고민이 계속되고 있을 뿐 결단이 내려지지 않았음을 밝힌 것이다.
지난 주말 내내 자택에 머물며 거취를 고심한 것으로 전해진 문 후보자도 이날 오전 출근길에서 “조용히 내 일을 하면서 기다리겠다”면서 향후 거취와 관련한 언급을 하지 않았다.
박 대통령과 문 후보자 어느 쪽도 ‘결단’이라고 할 만한 것을 아직 내놓지 않은 것이다.
결국 지난 10일 문창극 총리 후보자가 지명된 이후 2주 가까이 ‘인사정국’이 장기화하고 있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청와대측에서 대통령 귀국 이후 여러 경로를 통해 문 후보자에게 자진사퇴를 강하게 설득했으나 해답을 듣지 못한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돌고 있다.
대통령의 정치적 부담을 최소화 하기 위해 문 후보자의 자진사퇴를 기다리는 중이라는 것이다.
박 대통령이 당장 지명철회에 나설 수도 있지만 양쪽 모두 감내해야 할 내상이 만만치 않아 문 후보자에게 거취를 결정할 시간을 준 게 아니냐는 관측이 설득력이 있어 보인다.
하지만, 문 후보자 입장에서는 해명 기회조차 갖지 못한 채 ‘불명예 퇴진’하는 것도 쉽게 받아들이기 어렵기 때문에 결국 지금은 뜸들이기를 하는 시간이라는 분석이 나돈다.
한편, 박근혜 대통령은 23일 청와대에서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및 수석비서관 5명에게 임명장을 수여했다. 임명장을 받은 수석비서관은 조윤선 정무수석, 김영한 민정수석, 윤두현 홍보수석, 안종범 경제수석, 송광용 교육문화수석 비서관 등이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